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Effect of Noun Animacy on L2 Processing of the English Plural Morpheme –s by Korean and Chinese Learners

이용수  117

영문명
한국인과 중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복수 형태소 처리와 명사 유생성의 관계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저자명
백순도(Baek, Soondo)
간행물 정보
『영미연구』제54집, 251~27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명사 유생성이 한국인과 중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복수 형태소 –s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영어의 복수 형태소와 달리 한국어와 중국어의 복수 표지는 수의적이고 명사의 유생성에 따른 분포상의 제약을 받는다. 한국어의 복수 표지는 무생 명사보다 유생 명사와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은 반면, 중국어의 복수 표지는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만 허용된다. 이러한 모국어의 특징이 영어 복수 형태소 습득과 처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자기속도조절 문장읽기 실험을 통해 한국인과 중국인 영어학습자가 복수 형태소가 필수적인 문법 맥락에서 그것이 누락된 단수형 명사의 비문법성을 인지하는지, 그리고 인지 여부가 명사의 유생성에 영향을 받는지 측정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한국인과 중국인 영어학습자는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서 복수 형태소가 누락된 경우에는 즉각적으로 그 비문법성을 인지했지만, 사물을 나타내는 명사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제2언어 습득 이론의 발달과 제2언어 교수의 개선에 유익한 함의를 제시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noun animacy on second language processing of the English nominal plural morpheme –s by Korean- and Chinese-speaking learners of English. Unlike English, the plural markers in Korean and Chinese are largely optional, and are subject to distributional constraints contingent on the animacy of the host nouns, such that in Korean, pluralization is more readily available for the nouns that denote humans than those that denote objects, while in Chinese, only human nouns can take the plural marker. Based on these observations, the present study tested whether and how the animacy of nouns affect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processing of the English plural morpheme. To that end, the sensitivity of Korean and Chinese learners of English to the ungrammaticality of the singular human vs. object nouns occurring in obligatory plural contexts was measured in a self-paced sentence reading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groups of learners were sensitive to number violation on human nouns but not on inanimate nouns, suggesting an important role of noun animacy in the L2 processing of the English plural morpheme. The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ory development and pedagogical application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목차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The Experiment
4. Discussion
5.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Works Cited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순도(Baek, Soondo). (2022).The Effect of Noun Animacy on L2 Processing of the English Plural Morpheme –s by Korean and Chinese Learners. 영미연구, 54 , 251-278

MLA

백순도(Baek, Soondo). "The Effect of Noun Animacy on L2 Processing of the English Plural Morpheme –s by Korean and Chinese Learners." 영미연구, 54.(2022): 251-2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