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Семантические неологизмы современного русского языка
- 발행기관
- 한국슬라브어학회
- 저자명
- Ён-Бо Сим
- 간행물 정보
- 『슬라브어 연구』제8권, 225~23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7.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 러시아어 신조어에서 새로운 의미를 지니는 어휘는 러시아의 과도기적인 사회개혁 지향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그 역동적 과정을 반영하고 있다. 신조어의 생성과정은 러시아인들이 공통으로 지니고 있는 그들의 언어문화적 세계상(картина мира)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러시아어에서 러시아의 민속, 민족적 특징을 내포하고 있는 문화어, 그리고 역사발전과정과 새로운 사회현상에서 생성된 신조어는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특히 한국인에게 있어서 러시아어 신조어의 문화적 암시 의미(культурная коннотация)의 정확한 해독은 러시아어 학습에 가장 중요하고 복잡한 과제중의 하나이다. 신조어들은 아래와 같은 의미로 분류될 수 있다: -공간현상의 의미를 반영한 어휘 Гастролер 1. 순회공연배우 2. 일자리(직장)를 자주 바꾸는 등 불성실한 직장인 3.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을 벗어나서 죄를 범한 범죄자 -비등가 의미를 지닌 어휘 Афганец -아프가니스탄의 전쟁에 참가한 소련군인 -중심의미는 약화되고 은유적 의미를 지닌 어휘 Канарейка-노란색 바탕에 파란색 줄무늬로 도색된 경찰차-문화적 은유와 암시의미를 지닌 어휘 Байкал-연한차 Жук-암거래상, 브로커등과 같은 경죄인, 어두운 일을 하는 사람 본 논문에서는 문화코드와 언어적 의미의 상호관계 속에서 문화적 암시의미의 내용을 구성하는 현대 러시아어 신조어들을 의미론적 관점에서 유형별로 분류하고 신조어에 나타난 러시아 민족문화적 특성과 언어적 세계상을 살펴보았다. 신조어의 의미론적 발전과정의 복잡함은 민족문화특성을 지닌 암시적 의미의 많은 피제약성에 기인한다. 새로운 의미어휘의 분석은 오늘의 시점에서 연대기적 단면을 통해 신조어들의 발전 과정들을 밝힐 수 있으며 러시아인의 중요한 세계상과 현대 러시아어의 특질을 함께 이해할 수 있다.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불가리아어,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모음 체계와 특질 비교 연구
- Некоторые аспекты лингвистического анализа политического текста в корейской аудитории
- 러시아 교회슬라브어
- 범주의미와 행위양식의 상관관계에 대한 고찰
- 고대러시아어의 복합 과거시제(Aorist, Imperfekt)에 관한 연구
- 대러시아어 복수조격어미 이형태 -ы 연구
- 현대 러시아어 신조어의 의미론적 연구
- 러시아어에서 전체에 대한 부분의 의미를 표현하는 방법
- Специфика исследований словообразования говоров
- 까슈비아어(Kashubian)
- Jезичка структура писама Вука Поповића и њихова лексичко-семантичка слоjевитост
- Upotreba imeničke zamjenice šta I što u srpskom jeziku
- 러시아어 단어 내적 반의어의 유형별 분류에 관한 연구
- 《Горный венец》: Русские поэтические переложения
- О некоторых функциях видо-временных форм в тексте
- Я говорящего в грамматике и тексте
- 한국어와의 비교를 통한 러시아 화자의 담화상의 특징적인 표현 연구
- 러시아어에서 상황정어의 의미 구조
- Грамматическое изучение перформативов
-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의 인칭 명사 파생과 합성 비교
- Structure of Linguistic Norms in XVI Century Polish
- 러시아어에서 무주어구문
- ‘의사소통 유형’ 체계에서의 명명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디지털 트윈 시대의‘장소성’과 문화영토의 존재론 - 실재-가상 간 경계의 해체와 문화적 주체 형성
- 미드저니(Midjourney)가 이끄는 문화콘텐츠 연구의 지형 변화 -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
- 외국인의 K-콘텐츠 체험이 서울의 도시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