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대러시아어의 복합 과거시제(Aorist, Imperfekt)에 관한 연구

이용수  3

영문명
Die Entwicklung der Vergangenheitstempora (Aorist, Imperfekt, Perfekt, Plusquamperfekt) im Altrussischen Ⅱ
발행기관
한국슬라브어학회
저자명
박승찬
간행물 정보
『슬라브어 연구』제8권, 43~6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07.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인도유럽어로부터 시작하여 공통슬라브어로 분화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고대러시아어의 과거 시제는 단순 과거시제인 Imperfekt, Aorist와 복합 과거시제인 perfekt, plusquamperfekt로 구분되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지난호에서 다루어 보았던 Perfekt, Plusquamperfekt에 이어서 또 다른 과거시제인 Aorist, Imperfekt를 테마로 삼아서 그당시 문헌에서 등장하는 시제를 가지고 만들어진 방법과 여러 의미들 그리고 현대노어에 끼친 영향등을 분석하였다. 그당시의 문헌들을 보면 많은 필사자들이 단순 과거시제를 불확실하게 또는 법규에 맞지 않게 쓰인 문헌들을 찾아 볼 수 있다. 이러한 쓰임의 불확실성은 그당시 시대상을 반영하여 일상의 구어체에서는 거의 사용되어지지 않았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Aorist는 Imperfekt보다 조금 더 오래 지속되었지만 지역에 따라 사용이 차별화되었고 러시아에서는 15세기까지도 사용되어졌음을 볼 수 있다. 이렇게 Aorist와 Imperfekt의 사용의 한계성은 아울러 Perfekt와 Plusquamperfekt의 쓰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점차로 복합 과거시제가 포용력있게 사용되어져갔다. 현대 노어에서는 여러가지의 고대 형태로부터 파생되어 지는 것이 나타났다. 이러한 것들은 더 이상 고대 형태인 Aorist, Imperfekt, Plusquamperfekt로 이해되어지지 않고 고착된 형태로 이해되고 있고 아직 생산적인 분류로 잘못 인식되어 있음도 볼 수 있다. 그외에도 현대 노어에서 볼 수 있는 vy, cu, -sta, chomonija, nictoze sumnjasesja, ele mozachom, bylo 1-Partizip, zili-byli 등 여러가지 형태들을 다양한 예를 통하여 고찰해 보았다.

영문 초록

목차

1. Einleitung
2. Die Vergangenheitstempora im Altrussischen
3. Das Perfekt
4. Das Plusquamperfekt
5. Das moderne russische Praeteritum
6. Zusammenfassung
Literaturverzeichnis
Резюме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승찬. (2003).고대러시아어의 복합 과거시제(Aorist, Imperfekt)에 관한 연구. 슬라브어 연구, 8 , 43-68

MLA

박승찬. "고대러시아어의 복합 과거시제(Aorist, Imperfekt)에 관한 연구." 슬라브어 연구, 8.(2003): 43-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