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Сопоставительный анализ выражений, характерных для устной беседы на русском и корейском языках (статья первая)
- 발행기관
- 한국슬라브어학회
- 저자명
- Р.А. Кулькова и Ман-Чун Хан
- 간행물 정보
- 『슬라브어 연구』제8권, 409~43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7.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어를 모어(母語)로 하는 러시아어 학습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러시아 화자들의 담화상의 전형적인 표현 연구는 의사소통 활성화에 포괄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본 고에서 논의되어진 내용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러시아어는 교제와 담화상의 관계유지에 있어서, 논리적으론 비포화적이지만 발화상 훨씬 많은 양의 표현들을 지니고 있다. 이는 한국어와는 확연히 구별되는 특징으로 다음과 같다. 1) 담화시 대담자의 경청자세를 보여주고 있는 관계설정의 표현들: 예를 들면, Я весь внимание. 또는, 화자의 발화 상황시 대담자의 경청을 요하는 표현들: Послущайме, чмо я вам скажу ... 2) 관계연속의 표현들로서 의사소통으로의 호의적인 준비 신호: 통상적으로 질문 이후나, 대답에 앞서 내뱉는 현재-미래 시제의 동사들: 예를 들면, рассказываю , скажу , омвечу . 3) 화자의 신체적 자세(상태)나 그의 시선의 방향, 경청의 실제, 숙고의 과정, 화자의 꾸밈없는 노출을 반영하고 있는 관계연속의 표현들: сижу, смомрю на мебя, слущаю и 𝝏умаю . 4) 얼마 전에 출현하기 시작한 의미가 씻겨져 내린 많은 양의 삽입어구들의 사용. 예를 들면, на самом 𝝏еле в значении мак скажем , му𝝏а-сю𝝏а , фафа-ляля и м.𝝏. 상기의 예들 중 2)번과 3)번의 현상은 한국어에서는 직접적으로 일치된 표현을 찾아보기가 어렵고, 1)번과 4)번의 경우는 러시아어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에 비해 한국어에서는 그 활용 폭이 넓지 않다. 만일 은유적 성격의 표현들( Мы иерескочили ) 관해서 논하자면 한국어와 러시아어에서는 담화상 적지 않은 동등한 표현들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몇 가지 구별되는 점이 있는데 그것은 아래와 같다. 1) 대체로 러시아어에선 한국어에서보다도 학문, 기술, 예술, 스포츠 등의 어휘들이 전이된 의미로 사용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 Вы нокаумировали своих оиионенмов ), 2) 운동동사가 전이된 의미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Мы забежали виере𝝏 .) 3) 공간의 틀 속에서 위치변경의 구체적인 의미를 가진 동사들이 전이된 의미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Вы чумочку иеревернули мои слова .) 이상으로 본 고에서 고찰해 본 이러한 모든 표현들이 언어학과 실제적인 번역과 교수법 이론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영문 초록
목차
Введение
Основная часть
Заключение
Литература
Резюме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불가리아어,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모음 체계와 특질 비교 연구
- Некоторые аспекты лингвистического анализа политического текста в корейской аудитории
- 러시아 교회슬라브어
- 범주의미와 행위양식의 상관관계에 대한 고찰
- 고대러시아어의 복합 과거시제(Aorist, Imperfekt)에 관한 연구
- 대러시아어 복수조격어미 이형태 -ы 연구
- 현대 러시아어 신조어의 의미론적 연구
- 러시아어에서 전체에 대한 부분의 의미를 표현하는 방법
- Специфика исследований словообразования говоров
- 까슈비아어(Kashubian)
- Jезичка структура писама Вука Поповића и њихова лексичко-семантичка слоjевитост
- Upotreba imeničke zamjenice šta I što u srpskom jeziku
- 러시아어 단어 내적 반의어의 유형별 분류에 관한 연구
- 《Горный венец》: Русские поэтические переложения
- О некоторых функциях видо-временных форм в тексте
- Я говорящего в грамматике и тексте
- 한국어와의 비교를 통한 러시아 화자의 담화상의 특징적인 표현 연구
- 러시아어에서 상황정어의 의미 구조
- Грамматическое изучение перформативов
-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의 인칭 명사 파생과 합성 비교
- Structure of Linguistic Norms in XVI Century Polish
- 러시아어에서 무주어구문
- ‘의사소통 유형’ 체계에서의 명명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디지털 트윈 시대의‘장소성’과 문화영토의 존재론 - 실재-가상 간 경계의 해체와 문화적 주체 형성
- 미드저니(Midjourney)가 이끄는 문화콘텐츠 연구의 지형 변화 -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
- 외국인의 K-콘텐츠 체험이 서울의 도시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