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Lecturing at Gosan Jeongsa of Daesan School and the Teaching of Neo-Confucian theory -Focusing on Kim Seon’s 「Gosan Gangui」-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저자명
- 全丙哲(Jeon, Byeong-cheol)
- 간행물 정보
- 『동방한문학』제38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thesis intends to consider how Daesan Lee Sang-jeong (1711~1781)’s disciples inherited and developed their master’s knowledge and idea, so it focuses on the lecturing performed at Gosan Jeongsa for four days from August 24th till 27th of 1811. Through that lecturing, this paper examines how scholars under Daesan School gave lectures and what were the contents of the teaching. The purpose of the lecturing can be summed up largely in two parts. The first one is to inherit and develop Daesan’s studies through lecturing. And the other one is to raise a request to the Royal Court gathering wills of Daesan’s disciples and the region’s Confucianists for elevating Daesan Jeongsa to a Seowon taking the lecturing as a chance. With regard to the procedure of the lecturing, Yu Beom-hyu taking the leader’s role suggests a subject to be discussed along with Samseol such as 「Solseongjiuido-seol」, 「Ilseonggusadeok-seol」, and 「Simmuchulip-seol」. Next, people attending the lecture speak their opinion on it freely. The lecture was not conducted in a way that a person delivered his opinion unilaterally, but it was more like a gathering where people could share various views on a certain topic. The contents of the lecturing were arguments on Samseol of Daesan as mentioned above. This article has examined 「Ilseonggusadeok-seol」 among Samseol intensive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definitions of concepts on the true nature of Daesan and the theories of Sadeok and investigate how the scholars of Daesan School interpreted their master’s theories and how the interpretations differed.
목차
1. 서론
2. 高山精舍 講會의 形成과 方式
3. 大山 性理說의 講論 : 「一性具四德說」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