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호격 ‘-아/야’는 격조사인가, 후치사인가, 한정사인가?
이용수 108
- 영문명
- Vocative –a/ya in Korean: A Case Marker, a Post- position, or a Delimiter?
- 발행기관
- 현대문법학회
- 저자명
- 임창국(Changguk Yim)
- 간행물 정보
- 『현대문법연구』제112호, 157~17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24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main aim of this article is to achieve the observationally adequate grammar of the vocative marker –a/ya in Korean. By comparing other nominal particles such as structural Case markers, postpositions, and delimiters, the article addresses the question of what syntactic category the marker in question belongs to. The empirical finding is that the vocative marker behaves morpho-syntactically differently from the three categories of nominal particles. As a consequence, it is hard to confirm that of the three, it falls under any single syntactic category. This peculiarity of the marker leads to offer a syntactic analysis in which –a/ya heads its own projection, Vocative Phrase, and the Voc head bears the [2p] feature, which is responsible for anthropomorphism or personification of the inanimate or nonhuman addressee.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the marker at stake exhibits can be explained straightforwardly if it is assumed that vocative phrases appear above the left periphery, i.e., beyond the propositional CP domain in which the argument structure of predicates is represented or saturated syntactically. Namely, they occur in the so-called Speech Act Phrase domain that syntactically encodes discourse-pragmatics information such as discourse participants.
목차
1. 들머리
2. 경험적 관찰
3. 이론적 제안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호격 ‘-아/야’는 격조사인가, 후치사인가, 한정사인가?
- Two Approaches on Echoed Predicate Constructions Revisited
- Study on Epistemic Modality: Focusing on Learner Corpus and Native Speaker Corpus
- 시제구분에 대한 논쟁과 제안
- 영어의 젠더중립 단수대명사 ‘They’의 Phi-자질과 분포
- On Grammatically Encoding Anaphoric Definites in Korean
- 한국어 근문과 내포문 불화의 한 종류
- 한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중간태에 대한 교수법 모색
- An Investigation of Korean EFL Learners’ Grammar of English BE: A Corpus-Based Study
- 주어-동사 일치 문장처리에 관한 시선추적 연구
- 동사이동과 짝병합
- 줄임말의 수용성에 대한 양적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조선업 외국인 근로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이중언어학』 연구의 동향 분석 및 향후 방향 - 토픽 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학습자 언어 연구의 역사와 전망: 『이중언어학』 제1호~제99호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