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어의 젠더중립 단수대명사 ‘They’의 Phi-자질과 분포
이용수 77
- 영문명
- On the Phi-Features of English Ungendered Singular Pronoun THEY
- 발행기관
- 현대문법학회
- 저자명
- 홍성심(Sungshim Hong)
- 간행물 정보
- 『현대문법연구』제112호, 69~8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24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demise and shift of phi-features in English pronouns, in particular, THEY used as a 3rd person, singular, non-binary, and gender-neutral pronoun. It has been argued that pronouns have been considered as a hybrid category between functional and lexical (Zimman 2016, Gelderen 2017). As recent as Dec., 2019, a singular-they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from linguists, journalists, and grammarians in the world, for the obvious reasons that the English language officially selected the epicene-they (Balhorn 2004) as Word of the Year (Merriam-Webster Dictionary). The surge of the word THEY as a non-binary (ungendered) singular pronoun is extremely engaging in one hand, while the morphosyntactic consequences of its novel form seem quite murky and nebulous, especially from a heuristic perspective such as an EFL/ESL context. It is argued in this paper that pronouns, belonging to “a weaker category”, are more susceptible to their morphosyntactic changes whose recent appearance as a singular-THEY is the consequence of such weakness and instability in their feature matrix. The changes of the phi-features, particularly gender and number features in singular-THEY, are due to the language usage of the speakers’ level of participation in this grammatical change, as well as to the diversity of sociolinguistic environment.
목차
1. 서론
2. 단수 대명사-‘they’의 분포: 총칭성, 젠더중립성, 담화결속성
3. ESL/EFL관점에서의 단수-‘They’의 문제점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호격 ‘-아/야’는 격조사인가, 후치사인가, 한정사인가?
- Two Approaches on Echoed Predicate Constructions Revisited
- Study on Epistemic Modality: Focusing on Learner Corpus and Native Speaker Corpus
- 시제구분에 대한 논쟁과 제안
- 영어의 젠더중립 단수대명사 ‘They’의 Phi-자질과 분포
- On Grammatically Encoding Anaphoric Definites in Korean
- 한국어 근문과 내포문 불화의 한 종류
- 한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중간태에 대한 교수법 모색
- An Investigation of Korean EFL Learners’ Grammar of English BE: A Corpus-Based Study
- 주어-동사 일치 문장처리에 관한 시선추적 연구
- 동사이동과 짝병합
- 줄임말의 수용성에 대한 양적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조선업 외국인 근로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이중언어학』 연구의 동향 분석 및 향후 방향 - 토픽 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학습자 언어 연구의 역사와 전망: 『이중언어학』 제1호~제99호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