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의 물 인프라를 강화하는 국가정책과제
이용수 37
- 영문명
- National policy agenda to strengthen regional water infrastructure
- 발행기관
- 한국지방공기업학회
- 저자명
- 김정렬(Kim, Jung-Yul)
- 간행물 정보
- 『한국지방공기업학회보』제17권 제2호, 23~4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 상하수도는 물 인프라의 높은 보급률에도 불구하고 만족도가 낮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시설의 광역화와 인력의 전문화를 중심으로 물 인프라의 재편방안을 모색하였다. 우선 시설의 광역화를 촉진하기 위해 특・광역시와 시・군별로 맞춤형 대책을 모색하였다. 특・광역시 상수도의 재도약을 위해서는 본부장 3년 계약제를 요체로 하는 책임운영기관화가 필요하다. 상수도 패러다임은 공공관리에서 거버넌스를 추구해야 한다. 더불어 특・광역시 하수도의 도약은 성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내외부 평가체계의 강화도 요구된다. 또한 인력의 전문화를 촉진하는 인적자원관리(HRM) 대안으로는 기업행정, 수도토목 등 전문 직렬의 부활, 전문관 지정대상 직위의 확대, 기술계 고졸채용 확대, 창의인재를 발굴, 장기근속의 의무화 조치, 성과평가의 강화, 승진제도의 전략적 활용 등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인적자원개발(HRD) 대안으로는 지역별 연합교육체제 도입, 국내외 우수사례 벤치마킹 강화, 자체 연찬과 발표, 현장교육 강화, 자격증 지원, 역량개발 유도, 경력개발제도 강화, 전문인력의 유출입 관리 등에 유의하였다.
영문 초록
Water and sewage service in Korea is in a state of low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high penetration rate of water infrastructure. Therefore, this study sought ways to reorganize water infrastructure, focusing on the regionalization of facilities and specialization of human resources. First of all, in order to promote the regionalization of facilities, customized measures were sought for local governments. It is necessary to become a responsible operating institution based on the three-year contract system for the director of the water organization. The water supply paradigm should pursue to governance from public management. In addition, progress of special and metropolitan government is also required to strengthen the internal and external evaluation systems that can systematically manage performance. This research suggested revival of professional public officials, expanding the recruitment of high school graduates in engineering field, discovering creative talents, mandatory long-term service, strengthening performance evaluation, and strategic use of the promotion system as an alternative to human resource management(HRM) that promotes the specialization of human resource. Also, it paid attention to introducing united education system by regional groups, reinforcing benchmark of domestic and foreign excellent cases, study and presentation, enhancing field education, supporting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encouraging competency development, reinforcement of the career development system, management inflow and outflow of professionals as an alternative to human resource development(HR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검토와 분석틀
Ⅲ. 상하수도 시설의 광역화를 촉진하는 국가정책과제
Ⅳ. 상하수도 인력의 전문화를 촉진하는 국가정책과제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