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수학영재를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이용수 107
- 영문명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Taxi Geometry
- 발행기관
-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성준(Kim, Sung-joon)
- 간행물 정보
- 『과학영재교육』제13권 제3호, 75~8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수학영재를 위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과 그 적용을 통해 초등수학영재의 핵심역량과 함께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새로운 것에 대한 받아들이고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초등영재의 반창의석 편향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고, 영재를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준거를 제시한다. 연구대상은 P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초등수학반 6명이며, 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실시간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은 도입-전개1-전개2-정리 단계로 구분하여 진행되었다. 각 단계에서 과제별 발문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그린 도형과 그래프를 통해 이들의 핵심역량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수학영재는 ‘거리’ 개념에 따른 변화를 직관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 또 택시 기하에서 도형과 거리 개념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동시에, 자신만의 ‘거리’를 정의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학영재의 핵심역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후속 연구를 통해 기존의 내용을 새로운 접근법으로 다룰 수 있는 초등수학영재를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이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math gifted classes and the core competencies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particular, it was intend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accept and apply new ‘distance’ concept in this process. To this end, first, the anti-creativity bias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is discussed, and the criteria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gifted students are examin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ix elementary school math classes at P University s Institute of Science and Gifted Education, and non-face-to-face real-time classes were conducted for these students. The class was divided into introduction-development 1-development 2-organization stages. Questionnaires for each task were presented at each stage, and their core competencies were analyzed through various geometric shapes and graphs drawn by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elementary math gifted students were able to intuitively accept change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distance . In addition, they were able to understand and utilize the concepts of geometric shapes and new ‘distance’ under taxi geometry, and defining their own distance .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e core competencies of math gifted students. Through follow-up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elementary math gifted students through a new approach that can handle the existing content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분산프리즘을 이용한 태양 스펙트럼 관찰 장치 구성의 최적화 방안
- 과학영재교육에서의 머신러닝 활용 튜토리얼
-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운영 현황 분석 및 시사점 도출
- 구면 이각형의 내접 타원에 대한 연구
- 초등수학영재를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 국내산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기능성 플라보노이드 성분 및 함량 비교 연구
- 국립부산과학관 탐방학습에서 초등과학영재들이 선호하는 전시물과 질문유형의 특징
- 대학부설 초등 과학영재의 사회참여역량 분석
- 3, 5, 7, 11의 배수가 아닌 홀수 완전수의 소인수의 지수의 합에 대한 연구
- 무게중심과 수평잡기를 활용한 프로젝트학습이 초등 과학영재의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정보영재 선발을 위한 정보영재성 분석
- 과학영재학생의 논문에 나타난 결론부 서술의 특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