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립부산과학관 탐방학습에서 초등과학영재들이 선호하는 전시물과 질문유형의 특징
이용수 165
-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Exhibits and Questioning Types Preferred by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during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at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
- 발행기관
-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신명렬(Shin, MyungRyeol) 서혜애(Seo, Hae-Ae)
- 간행물 정보
- 『과학영재교육』제13권 제3호, 100~121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과학관 탐방학습에서 초등과학영재들이 선호하는 전시물과 질문유형의 특징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 40명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첨단과학기술창의캠프’에 참가하였으며, 이들이 탐방 전 온라인 전시물을 시청한 후 작성한 사전조사지와 과학관 탐방 시 전시물을 직접 관람, 체험한 후 작성한 사후조사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선호하는 전시물에 대한 질문들은 수집자료를 토대로 개발한 기본형, 탐색형, 분석형, 사고형, 확장형, 복합형의 6개 질문유형 분석틀을 활용하여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과학영재들은 과학관 전시물 중심소재(자동차, 항공우주, 선박, 에너지, 방사선의학)와 주제영역(과학원리, 산업기술, 첨단과학)별 선호하는 전시물의 차이를 보였다. 둘째, 초등과학영재들은 과학관에서 4개 중심소재의 가장 선호하는 전시물 4개의 연출형태는 작동모형을 포함하는 복합형의 특징을 보였다. 셋째, 초등과학영재들이 온라인 사이버 상 전시물들을 시청한 후, 사전조사지에 제시한 질문유형의 비율은 기본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초등과학영재들이 과학관을 탐방하여 전시물들을 실제 관람하고 체험한 후, 사후조사지에 제시한 질문유형의 비율은 평균적으로 탐색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사전-사후 5개 중심소재별, 3개 주제영역별, 전공별 선호도와 질문유형 비율에서 두드러지는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과학관 전시물은 초등과학영재들이 개방적이며 발산적인 질문을 유도하는 내용과 연출형태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고찰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s and question types preferred by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during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at a science museum,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 The research subject of 40 students participated in an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creativity camp’ and responded to pre- and post survey instruments respectively with nine questions about exhibits. The students’ questions were analyzed by using an analysis framework of six questioning types; basic, exploring, analyzing, thinking, extended, and complex.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showed differences in preferred exhibits by three subject areas; science principles, industrial technology, and advanced science and five main topics; vehicle, aerospace, naval architecture, energy, and radiation medicine. Second,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preferred specific exhibits which allow them to operate autonomously as direct experience. Third, the basic type of questioning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in the pre-survey. Fourth, the exploring type of questioning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in the post-survey. Overall,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in preferred exhibits and questioning type ratio among three subject areas and five main topics between pre- and post survey. It was concluded that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science museum exhibits to more actively secure the form and quality of the presentation that induces more open and divergent questions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분산프리즘을 이용한 태양 스펙트럼 관찰 장치 구성의 최적화 방안
- 과학영재교육에서의 머신러닝 활용 튜토리얼
-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운영 현황 분석 및 시사점 도출
- 구면 이각형의 내접 타원에 대한 연구
- 초등수학영재를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 국내산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기능성 플라보노이드 성분 및 함량 비교 연구
- 국립부산과학관 탐방학습에서 초등과학영재들이 선호하는 전시물과 질문유형의 특징
- 대학부설 초등 과학영재의 사회참여역량 분석
- 3, 5, 7, 11의 배수가 아닌 홀수 완전수의 소인수의 지수의 합에 대한 연구
- 무게중심과 수평잡기를 활용한 프로젝트학습이 초등 과학영재의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정보영재 선발을 위한 정보영재성 분석
- 과학영재학생의 논문에 나타난 결론부 서술의 특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