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학영재학생의 논문에 나타난 결론부 서술의 특징 분석
이용수 25
- 영문명
- Analysis of Conclusion Section of Scientific Research Papers Written by Gifted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조광희(Jo, Kwanghee)
- 간행물 정보
- 『과학영재교육』제13권 제3호, 172~185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영재학생들이 작성한 과학 분야 논문의 결론부 구조를 분석하여 특징을 탐색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2015년부터 2020년 사이에 “과학영재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과학 분야 논문 35편 중 20편을 선별하여 결론부 문장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이 작성한 과학 분야 논문은 대체로 4부형이나 5부형으로 이루어졌고, 결론부 제목에 ‘결론’을 명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론부 문장 중에서 결과요약(24.6 %)과 결과해석(12.3 %) 단계에 해당하는 문장이 가장 많았다. 학생들은 대체로 연구내용, 결과, 논의, 제한점, 결론, 의의, 제언의 순서로 결론부를 작성하고 있었다. 그런데 일부 학생은 개인 소감을 논문의 마지막에 덧붙였다. 그리고 평균보다 적은 문장 수로 연구내용 소개와 결과 요약의 서술에 집중한 일부 논문에서는 논의나 의의 등에 대한 진술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이 논문의 결론부를 작성하거나 교수자가 논문을 지도할 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the conclusion section in scientific research papers written by gifted students, the characteristics were explored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sought. From 2015 to 2020, 20 out of 35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were selected to examine the move and the step of the conclusion section with the genre analysis method. Scientific research papers written by the gifted generally consisted of 4-section or 5-section format, and there was a tendency to specify ‘conclusion’ in the title of the last section. Among the sentences in the conclusion section, the sentences corresponding to the result restatement (24.6%) and the result interpretation (12.3%) steps were the most. In general, science-gifted students were writing the conclusion section in the order of research content, results, discussion, limitations, conclusions, significance, and suggestions. However, some students added their personal impressions at the end of conclusion section. Additionally, in some papers that focused on the summary of the research content and results with fewer than the average number of sentences, it was found that the statement about the discussion or valuation was insu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when students write the conclusion section of the paper or when the supervisors guide th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분산프리즘을 이용한 태양 스펙트럼 관찰 장치 구성의 최적화 방안
- 과학영재교육에서의 머신러닝 활용 튜토리얼
-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운영 현황 분석 및 시사점 도출
- 구면 이각형의 내접 타원에 대한 연구
- 초등수학영재를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 국내산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기능성 플라보노이드 성분 및 함량 비교 연구
- 국립부산과학관 탐방학습에서 초등과학영재들이 선호하는 전시물과 질문유형의 특징
- 대학부설 초등 과학영재의 사회참여역량 분석
- 3, 5, 7, 11의 배수가 아닌 홀수 완전수의 소인수의 지수의 합에 대한 연구
- 무게중심과 수평잡기를 활용한 프로젝트학습이 초등 과학영재의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정보영재 선발을 위한 정보영재성 분석
- 과학영재학생의 논문에 나타난 결론부 서술의 특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