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창배 명창의 예술활동과 선유가의 음악구조 고찰
이용수 60
- 영문명
- A study on Lee, Chang-bae’s artistic activities and
musical structures of his - 발행기관
- 글로벌지식융합학회
- 저자명
- 공윤주(Kong, Yun-joo)
- 간행물 정보
- 『지식융합연구』지식융합연구 제4권 제2호, 11~3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이창배 명창의 12잡가중 선유가 사설 내용 분석 및 선율구조를 연구하는데 있다. 이창배 명창은 경기소리의 핵심인물로 경기소리 발전에 크게 기여 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미비하다. 또한 경기12잡가중 선유가 1곡으로만 연구된 자료가 없기 때문에 이 곡으로 연구를 하였다. 이창배 명창 著 『가요집성』을 중심으로 사설내용을 분석하고, “이창배의 예술세계”CD음원에서 선유가곡을 채보하여 선율구조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창배 명창 선유가의 사설은 두 가지 후렴구가 교대로 반복하는 매우 독특한 구조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Bb본청 Sol(F), La(G), Do(Bb), Re(C), Mi(D) 선법으로 경토리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장단은 6박의 도드리장단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경기소리가 좀 더 쉽게 대중화 될 수 있도록 학문적으로 도움이 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yrics contents and melody structures of “Seonyuga”-one of 12-Japga based on Lee, Chang-bae’s version. Master Lee, Chang-bae; one of the top core musicians in the genre of “Kyeonggi traditional Music” has not been studied enough in spite of his great contribution to “Kyeonggi traditional Music” and especially the study case of “Seonyuga” is very scarce. That s the reason I chose this subject.
I will analyse the lyrics contents on the basis of “Gayogipsung” written by Lee Chang-bae and “Seonyuga” melody structure abstracted from the sound of CD titled “Art World of Lee, Chang-bae”.
The outcome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His “Seonyuga” has exclusive structure of alternative repetition of two choruses. His “Seonyuga” belongs to in the aspects of Bb basic sound Sol(F), La(G), Do(Bb), Re(C), Mi(D) melody mode.
The rhythm belongs to 6 beat “Dodry”. I hope this study help “Kyeonggi traditional Music” more popular and familiar with people.
목차
1. 서론
2. 벽파 이창배명창의 생애와 활동연혁
3. 선유가 사설내용 분석
4. 선율구조분석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융합 현대음악 분석 및 지휘 연구
- PSAT(공직적격성평가)와 대학 기초교육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예술경영 인지도가 변혁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중국어 介紹와 한국 한자어 紹介의 대조분석 初探
- 晩唐 詠史詩의 통속적 특성과 그의 효용적 가치 탐구
- 중국어 말하기 유창성 향상을 위한 소고
- 서바이벌 TV 프로그램의 방향성 제고
- 일제강점기 대중음악 가사에 대한 분석
- 이창배 명창의 예술활동과 선유가의 음악구조 고찰
- 『国际中文教育中文水平等级标准(2021)』의 중국어교육요목 체계 변화 고찰
- 이주(二主) 사(詞)의 망국(亡國) 감성
- MR 실감 융합 현실 기술에 부합하는 시·공간 그래픽 구현에 관한 연구
- 지식융합연구 제4권 제2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