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주(二主) 사(詞)의 망국(亡國) 감성
이용수 9
- 영문명
- national ruin sensibility of Erzhu’Ci
- 발행기관
- 글로벌지식융합학회
- 저자명
- 홍병혜(Hong, Byung-Hye)
- 간행물 정보
- 『지식융합연구』지식융합연구 제4권 제2호, 97~11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라는 형식은 중국의 문학형식 중 가장 정적인 문학형식이다. 통상적으로 중국의 시를 언급하지만 시로도 말할 수 없는 감정을 역대의 작가들은 사를 통해 토로하였다. 사는 당대 초기에 민간으로부터 출발하여 만당시기에 문인들이 전문적으로 짓기 시작하였는데, 만당을 이어 오대에도 더욱 발전하였다. 그것은 서촉과 남당 사인들의 공로이다. 그런데 서촉사인들의 성향이 만당의 풍격을 다지고 계승한 것이라면, 남당사에서는 그 풍격이 성장하여 확장성을 가진다. 바로 당시에 몰락과 쇠망의 길을 온전히 겪은, 그런데 겪고 당하는 것만이 아닌, 그 감정을 생생히 발휘할 수 있는 문학적 소양을 갖춘 두 군주(중주와 후주)의 덕분 때문이다. 두 사람은 군주로서는 그 능력이 한심하고 부족했다. 그래서 전혀 손쓰지 못하고 당하는 망국의 슬픔과 고통을 사라는 문학형식을 빌어 그저 토로했을 뿐인데, 그 망국에 대한 감정 표현이 할 말을 잃게 할 정도로 일품이다. 심지어 이들의 사작은 두 사람이 중원을 제어할 능력을 가진 군주였다면, 이러한 사문학의 명작을 제공할 수 없었을 것이라는 면죄부가 되었다. 중국은 남당 이후 남송시기에 다시 한 번 정치적 소용돌이 속에서 고통을 겪는다. 이때 이미 망국의 감성을 근사하게 노래하여 일보의 성장을 보인 이주의 사작이 이들에게 본보기로 작용한다. 결국 이주가 사작을 통해 과시한 망국의 감성은 사문학의 다변화를 넘어 사풍의 궤적을 견고히 하는 데 있어 그 토대를 형성했던 것이다.
영문 초록
Ci’literature of Chinese is the most emotional literary form of Chinese literature. Ci’literature of Chinese flourished at Tangdai(唐代) Dynasty, peaked during Songdai(宋代) Dynasty. Especially between Tangdai Dynasty and Songdai Dynasty, NanTang’Ci(南唐詞) has become Song’Ci(宋詞) strong base. And, Erzhu(二主) is the main character of NanTang’Ci. Erzhu is Zhongzhu(中主: 李璟) and Houzhu(後主: 李煜). NanTang has survived for over forty years. But, NanTang has always been in a state of unrest because it doesn’t know when it will go down. The two emperors were excellent in music and literary talent. Therefore, the emotions in the process of the ruins are revealed through Ci’literature.
Zhongzhu’Ci of the ruins reveal the pain and silence. Houzhu’Ci of the ruins reveal the isolation and desperation. Most of the Erzhu’Ci previous work sang love. Thus, to Erzhu’Ci, the history of Ci’literature draws a meaningful stroke.
Erzhu’Ci laid the foundation for the diversity of Song’Ci, it had a direct impact on patriotic Ci of NanSong(南宋), especially.
목차
1. 들어가며
2. 이주(二主) 사(詞)의 망국(亡國) 감성
3. 나오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융합 현대음악 분석 및 지휘 연구
- PSAT(공직적격성평가)와 대학 기초교육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예술경영 인지도가 변혁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중국어 介紹와 한국 한자어 紹介의 대조분석 初探
- 晩唐 詠史詩의 통속적 특성과 그의 효용적 가치 탐구
- 중국어 말하기 유창성 향상을 위한 소고
- 서바이벌 TV 프로그램의 방향성 제고
- 일제강점기 대중음악 가사에 대한 분석
- 이창배 명창의 예술활동과 선유가의 음악구조 고찰
- 『国际中文教育中文水平等级标准(2021)』의 중국어교육요목 체계 변화 고찰
- 이주(二主) 사(詞)의 망국(亡國) 감성
- MR 실감 융합 현실 기술에 부합하는 시·공간 그래픽 구현에 관한 연구
- 지식융합연구 제4권 제2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