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닐라 페임을 통한 필리핀 가구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the Philippines Furniture through Manila FAME
- 발행기관
- 한국가구학회
- 저자명
- 조숙경(Sook-Kyung Cho)
- 간행물 정보
- 『한국가구학회지』제24권 제1호, 24~32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a tendency of the Philip-pines furniture which are not well-known in Korean market yet, but have been emerging as an OEM base, through the Manila FAME 2012. The study was conducted by visiting some furni-ture companies in Philippines for the active understanding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Philippines furniture,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functional and structural aspects of the goods which were exhibited on the Manila FAME 2012. The methods of the investigation were to research the related literatures concerned and materials had been collected over the internet, to visit the Manila FAME 2012 at work and finally to visit furniture companies in Philippines. Manila FAME has been based on the DTI (DTI: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through CITEM (CITEM: The Center for International Trade Mission and Expositions) since 1983. The exhibition whichincludes various sorts from furniture, traditional artifacts, leisure goods, gifts, jewelry and clothes is becoming such a potent force by integrating three exhibitions such as Manila Now, CEBUNEXT and Bijoux Cebu, what all had been held before the world econom-ic downturn. The features of the Philippines furniture shown on the Manila FAME are as fol-lows: First, they are focusing on the maximum of function to the exclusion of the decoration and they were mostly made of various kinds of mahogany like jambilina, acacia, bamboo, wis-teria and Manila hemp growing up in the Philippines indeed and finally there were a lot of the simple designs of the curved line which were exactly the material nature of the wisteria and Manila hemp.
목차
Ⅰ. 서론
Ⅱ. 마닐라 페임
Ⅲ. 필리핀 가구의 특징
Ⅳ. 결론
사사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 현대 아트퍼니처의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 산후조리원 내 신생아실의 실내 환경 특성
- 키즈카페의 가구류 및 설치시설에 따른 실내공기질 비교 분석
- 대단면 스킨팀버의 용재 가능성과 이를 활용한 생활용품 디자인 개발
- 어린이 성격유형별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공간디자인 구축 방안
- 마닐라 페임을 통한 필리핀 가구 연구
- 한일 주거형태 비교에 의한 국산재 이용 증진 방안 고찰
- 조선조 해주반의 이미지를 재해석한 테이블디자인
- 운봉 향교 정밀 모니터링을 통한 목재 기둥 부재의 함수율 분포 특성
- 소가구(小家口)를 위한 욕실 디자인 경향
- 고로쇠나무 적층재의 물성과 생활용품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