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단면 스킨팀버의 용재 가능성과 이를 활용한 생활용품 디자인 개발
이용수 0
- 영문명
- Manufacturing Life articles and a Possibility of Materials Using the Structural Size Skin-Timber
- 발행기관
- 한국가구학회
- 저자명
- 임승택(Seung Taek Lim)
- 간행물 정보
- 『한국가구학회지』제24권 제1호, 60~69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imber is an eco-friendly material that is suitable for low carbon and green growth, and recently, studies on utilization and manufacture of timber are increasing. Thus, we need a stable supply of wood working materials for the formative element and widespread function of timb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use of timber because it enhances the added value of this material by making the most of it. In this way, skin-timber is an appropriate material for life articles because skin-timber has a variety of functions including the ability for storage use, the beauty of structure, the ability to maintain heat and insulation, and the capability to control humidity. In this study, I developed household items using skin-timbers that are made up of cir-cular columns and square columns of pine, larch, and yellow popular. The circular and square columns have an inner hole that is approximately 90% of the external structure’s width. I in-tended for the concept of these designs to display creativity considering functionality and productivity. These items are life articles and furniture for modern people. They are eco-friendly products that are varnished with traditional lacquer and natural oil.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skin-timbers are made of domestic pine, larch, and yellow popular and are resource of furniture, household items, and woodcraft. I believe skin-timber is not only a useful material for processability and design applicability, but it also has the capability to be a multifunctional and high value-added material. Also, if the standards, such as cortex thickness, outside diame-ter, and length, of skin-timber are producted diversely, I believe skin-timber can be have more the possibility of industrial products’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스킨팀버 고찰
Ⅲ. 디자인 연구
Ⅳ. 실물사례와 스킨팀버의 가공성
Ⅴ. 결론
사사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 현대 아트퍼니처의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 산후조리원 내 신생아실의 실내 환경 특성
- 키즈카페의 가구류 및 설치시설에 따른 실내공기질 비교 분석
- 대단면 스킨팀버의 용재 가능성과 이를 활용한 생활용품 디자인 개발
- 어린이 성격유형별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공간디자인 구축 방안
- 마닐라 페임을 통한 필리핀 가구 연구
- 한일 주거형태 비교에 의한 국산재 이용 증진 방안 고찰
- 조선조 해주반의 이미지를 재해석한 테이블디자인
- 운봉 향교 정밀 모니터링을 통한 목재 기둥 부재의 함수율 분포 특성
- 소가구(小家口)를 위한 욕실 디자인 경향
- 고로쇠나무 적층재의 물성과 생활용품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