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후기 주기적 울릉도 수토와 울릉도 인식 양상에 대한 연구

이용수  33

영문명
A Study on the Periodic Military Missions to Ulleungdo and on the Geographical Perception of Ulleungdo in the Later Joseon Dynasty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저자명
백인기(Paik, In-Ky)
간행물 정보
『독도연구』제29호, 127~172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금까지 울릉도 수토에 관한 각종 사례를 종합하고 누락된 수토 사례를 추정하여 울릉도 수토의 지속성과 빈번함을 확인하였고, 그와 관련하여 울릉도 수토 자료에 나타나는 울릉도 특산물 이용 형태를 통해서 조선 후기 사회의 울릉도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확인된 사례와 추정한 사례를 통해서 1694년부터 1894년까지 최대 84회의 울릉도 수토가 시행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지속적인 수토와 울릉도 특산물의 우수성 때문에 왕실에서 서민에 이르기까지 울릉도의 특산물을 이용하였고, 연안 백성들은 매년 울릉도로 항해하여 울릉도 특산물을 배 한가득 채취하였다. 함경도,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에 이르는 연안에서 출발하는 많은 배들이 울릉도로 항해함에 따라 울릉도는 이들 연안 백성들의 생활권이 되었다. 독도는 울릉도의 시각공간 안에 있다. 따라서 독도는 좁게는 울릉도 생활권에 속하면서, 넓게는 연안의 생활권에 속하게 된다. 앞으로는 연안 백성들과 울릉도 및 독도와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so far sought to sum up cases of “Military mission to Ulleungdo(Ulleungdo Suto, 鬱陵島 搜討)” and to grasp the perception of Ulleung Isla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Ulleung Island s special products, which were found in the data on “Military mission to Ulleungdo”. In the discovered and the estimated cases, it was suggested that up to 84 times of missions were carried out from 1694 to 1894. Not only the royal family but also the common people used unique and excellent Ulleung Island specialties in their daily lives. The coastal people sailed to Ulleung Island every year to collect a full boat of Ulleungdo s specialties. As many ships on the coast of Hamgyeong-do, Gangwon-do, Gyeongsang-do, and Jeolla-do sailed to Ulleung-do, this Island became a living zone for these coastal people. Dokdo is in the visible space of Ulleungdo. Narrowly Dokdo belongs to the living zone of Ulleung Island and widely to that of the coast people. The further study is need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stal area, Ulleungdo and Dokdo.

목차

1. 머리말
2. 조선시대 수토의 의미
3. 울릉도 수토 사례
4. 울릉도 특산물과 울릉도 인식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인기(Paik, In-Ky). (2020).조선 후기 주기적 울릉도 수토와 울릉도 인식 양상에 대한 연구. 독도연구, (29), 127-172

MLA

백인기(Paik, In-Ky). "조선 후기 주기적 울릉도 수토와 울릉도 인식 양상에 대한 연구." 독도연구, .29(2020): 127-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