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독도 관련 고지도 연구의 동향과 과제
이용수 5
- 영문명
- Research Trends and Task of Old Maps Related to Dokdo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 저자명
- 심정보(Shim, Jeongbo)
- 간행물 정보
- 『독도연구』제29호, 359~38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후 일본의 독도 도발이 지속되는 가운데, 한국의 학자들은 영유권 공고화를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독도 연구를 전개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동·서양의 고지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독도 연구의 성과를 고찰하고, 나아가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한국에서 독도 관련 고지도 연구는 1980년 전후의 여명기, 1980년대 후반부터 1995년까지 공백기, 1990년대 후반부터 2005년까지 관심기, 그리고 2006년 이후 현재까지 확산기라고 할 수 있다. 연구의 초기에는 독도 관련 고지도를 소개하는 거시적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면, 최근에는 주제 중심의 미시적 연구가 증가하는 편이다. 그러나 여전히 독도 관련 고지도 연구는 중복이나 유사한 연구가 많은 편이다. 향후 새로운 사료 발굴에 따른 심층적 연구와 학제적 연구를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While the post-war Japanese aggression on Dokdo continued, Korean scholars have conducted research on Dokdo in various fields to consolidate their sovereign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hievements of Dokdo research, focusing on the ancient maps of the East and the West in Korea, and to suggest the research direction.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research on Dokdo-related ancient maps in Korea can be classified into the dawning period around 1980, the inactive period from the late 1980s to 1995, the period of interest from the late 1990s to 2005, and the diffusion period from 2006 to the present. In the early stages of the study, macroscopic studies introducing old maps related to Dokdo became mainstream, but recently, microscopic studies have been increased, focusing more on specific themes.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overlapping and similar studies on Dokdo-related old maps. We look forward to in-depth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based on the discovery of new historical materials.
목차
1. 머리말
2. 시기별 연구 동향
3. 주제별 연구 성과
4.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독도연구 제29호 목차
- 일본 중학교 지리 교과서의 독도 관련 기술 연구
- 독도 관련 고지도의 현황과 특징 분석
- 일본의 독도편입과 한국의 항의 부존재에 관한 검토
- 한국정부의 독도의 역사적 권원 주장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 독도관련 역사학 분야 연구의 성과와 향후 과제
- 독도주권과 국제법적 권원의 계보에 관한 연구
- 일본정부의 안용복 공적 날조에 대한 비판
-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국지리의 독도교육 교수-학습 모형 개발
- 독도 관련 고지도 연구의 동향과 과제
- 2000년 이후 독도/竹島 관련 일본학계의 역사학 연구
- 조선 후기 주기적 울릉도 수토와 울릉도 인식 양상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