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Link Between Linear Equations And Functions By Using Multi-Representation of Graphics Calculator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홍예윤(Hong, Ye Yoon)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8권 제1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방정식에 대한 많은 학생들의 이해는 단순한 기호적인 표현의 조작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교육 과정에서는 학생들이 방정식단원 후에 공부하는 그래프가 포함된 함수 단원이 앞서 공부했던 방정식과는 서로간의 연결 고리 없이 지도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래픽 계산기를 한 번도 사용해 본적이 없는 중학교 학생들로 하여금 대수적 표현, 표, 그래프를 사용하여 다양한 표현 방법으로 방정식을 이해하도록 하는데 있다. 그 결과로서 그래픽 계산기가 각각의 관련성 있는 도메인에서 깊이 있는 연결고리를 만들어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학생들의 반응 또한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래픽 계산기의 가치는 교사로 하여금 이러한 연결고리를 명확하게 하며, 교육적으로 더욱 깊이 있는 지도를 가능하게 하여 바탕 그림이 될 수 있는 개념적 관계와 수학의 개념적 구조의 본질을 스키마의 중심에 놓이게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래픽 계산기를 이용한 접근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개념적인 스키마’와 ‘수치적 기호만을 사용하는 계산위주의 지식’을 연결하는 연결고리를 만들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t seems that the understanding of an equation for many students originate from the beginning with an operation of the simple symbolic representation. Up to the present curriculum, the function unit including graph seems to be taught to students having no relevance to the equation unit which had been taught previous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let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never been used graphics calculator will be able to understand an equation using the various way of representation with an algebraic representation, table and graph. As a result, there has been known that not only graphics calculator make a deep link in domain which is related to each other but also the response of students is positive. Graphics calculators’ value make teacher explicit these linkages, and educationally more in-depth teaching by enabling the fundamental essence can be a conceptual relationship of mathematics conceptual structure of the nature of the schema at the centre of the put that you can have. Approach using a graphics calculator using the students ‘conceptual schema’ and ‘numerical calculations that use only the symbol-oriented knowledge’ can be made to connect the hooks on that one can be that there is significa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사회와 다문화 시민교육의 방향
-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 인성 관련 교육내용 분석
- 음악교사 양성 제도와 임용 현황에 따른 음악과에서 교직과정 이수 경험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
- 언플러그드 알고리즘 학습이 영재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퍼듀 공간 시각화 검사
- 교원업무 경감을 위한 통합적 접근 모형과 정책방안의 전략적 탐색
- 초등학생 눈으로 바라본 역사수업
- 그래픽 계산기를 통한 방정식과 함수의 상관관계 이해
- 학습용 무선 조종 모형 거북선 개발
- 예비음악교사를 위한 효율적인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방향 모색
- 예비여교사의 학습양식에 따른 개념도와 성찰일지 전략의 성과 차이 연구
- 중학교 지구과학교과를 중심으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과학 평가 문항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ast Asian law studies Vol.2 No.3 Contents
- 博采众长:民国时期的比较婚姻法视域
- 新时代“枫桥经验”视域下民事案件诉前调解功能异化风险分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