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Journal Writing According to Learner s learning Style of Female Prospective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서은희(Seo Eun Hee)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8권 제1호, 43~5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1.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여교사들을 대상으로 개념도와 성찰일지 학습전략의 성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학습양식에 따라 학습전략의 효과가 달라지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학습전략을 선택하고 미래의 학생들에게 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175명의 예비여교사들을 개념도 전략 집단, 성찰일지 전략 집단, 그리고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이들을 다시 Kolb의 학습양식에 따라 분류한 후 시험을 통해 학습 성과를 측정하였다. 공분산분석 결과,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을 경우 개념도는 학습 성과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으나, 성찰일지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학습양식별 학습전략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렴자의 학습양식을 가진 예비교사들에게 개념도와 성찰일지 전략 모두 학습 성과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분산자의 학습양식을 가진 예비교사들에게 개념도 전략은 학습 성과에 효과적이나, 성찰일지 전략은 비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in academic achievement and explored whether or not the effect is different according to women prospective teachers learning style. 175 women s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pre-test and post-test designed for two experimental groups(a concept mapping group and a reflective journal writing group) and a control group.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according to prospective teachers learning styl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concept mapping or reflective journal writing was not effective in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convergers who created concept mapping or reflective journal got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exam. Divergers who created concept mapping got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exam than divergers who wrote reflective journal. This study indicated that concept mapping might be an effective strategy to convergers and divergers whereas reflective journal writing might be effective to convergers but ineffective to diverg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사회와 다문화 시민교육의 방향
-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 인성 관련 교육내용 분석
- 음악교사 양성 제도와 임용 현황에 따른 음악과에서 교직과정 이수 경험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
- 언플러그드 알고리즘 학습이 영재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퍼듀 공간 시각화 검사
- 교원업무 경감을 위한 통합적 접근 모형과 정책방안의 전략적 탐색
- 초등학생 눈으로 바라본 역사수업
- 그래픽 계산기를 통한 방정식과 함수의 상관관계 이해
- 학습용 무선 조종 모형 거북선 개발
- 예비음악교사를 위한 효율적인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방향 모색
- 예비여교사의 학습양식에 따른 개념도와 성찰일지 전략의 성과 차이 연구
- 중학교 지구과학교과를 중심으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과학 평가 문항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ast Asian law studies Vol.2 No.3 Contents
- 博采众长:民国时期的比较婚姻法视域
- 新时代“枫桥经验”视域下民事案件诉前调解功能异化风险分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