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펜싱 플레쉬 동작의 하지 관절모멘트 분석
이용수 9
- 영문명
- Analysis of the Lower Extremity Joint Moment in the Fencing Fléche Mo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박호열(Park, Ho-Yeol) 주명덕(Ju, Myung-Duk)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35권 제3호, 113~12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펜싱의 플레쉬 동작 시 하지관절모멘트에서 발현되는 힘에 관한 연구로 3차원영상및 지면반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작을 분석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움직이는 효율적인 동작에 대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자료를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남자 중학생과 고등학생 펜싱선수를 대상으로 플레쉬 동작 시 하지분절에 관한 모멘트를 분석하였다. 플레쉬 동작은 멀리 있는 상대방을 정확하게 찌르기 위한 동작이다. 발목관절에서 중학생이 저측굴곡, 내전, 외번이 크게 작용하였다. 이는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지면에 작용하는 시간이 길기 때문이다. 무릎관절에서는 고등학생이 내전모멘트가 크게 작용하였다. 무릎의 내전의 힘이 신체를 빠르게 이동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고관절에서도 내전모멘트가 신체이동을 빠르게 이동시키는데 큰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고등학생은 큰 측정값을 보였다. 따라서 플레쉬 동작에서 고관절의 내전모멘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fléche behavior of fencing. Participants wer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fencing athletes, and. 3D imagery and ground reaction force were used to study the knee joint moments. First, the participants leapt forward with their back legs. The forces generated in the ankle joints of the back legs were the internal adduction, the moments of the plantar flexion and the valgus moments. At the ankle joints of the flash workout, middle school fencers showed higher measurements than high school fencers. In the ground reaction, high school students reached the ground in a short period of time. For high school fencers, the ground response was executed in a short time and the role of the ankle joints was relatively reduced. Second, abduction moment appeared in all participants΄ knees. This is because the foot is pulled from the marche and landed at 90°when it touchd the ground. All participants showed extension moments and showed the highest measured values in the knee. Moreover, the measured valu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as larger than tha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Consequently, the extension moment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making the body go forward. In the cross section, the external moment appeared with all the participant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sured values. Third, in the hip joint, the participants showed abduction, extension, and medial rotation. The maximum value of abduction was similar. However, junior high students had more abduction moment. On the other h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extension moment was higher in high school students. This is thought to be the role of the extension moment rather than abduction moment in order to exert a strong leverage in a short time. There was no difference in medial rotation. Fléche motion was compared between 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male high school students. High-school students had short operating times, and with middle school students the ankle joint played an important role. On the other hand, knee join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igh school students. Therefore, a highly-skilled person reached the ground in a short time. It is the hip joint that exerts the greatest power on the back of the experimenter s flash motion. The abduction mo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large. High school students showed a large extension moment.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the role of the hip joint is important for performing fast movem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과업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Rasch 모형을 활용한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지도안 평가 준거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과학교육에서의 다문화적 맥락을 중심으로 한 캐나다와 한국의 초등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 단위학교 교사공동체의 실행공동체 특성 및 참여의 기제
- 펜싱 플레쉬 동작의 하지 관절모멘트 분석
- 다문화 경험학습을 통한 글로벌 리더십 발달
- A Corpus-based Error Analysis of Spoken English Produced by University Students
- 중등교사의 그릿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유아교사에 대한 인식
-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대체교사 지원사업』 이용실태와 인식
- 다문화가정 초등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여가 의사소통역량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이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