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단위학교 교사공동체의 실행공동체 특성 및 참여의 기제
이용수 56
- 영문명
- Factors of Participation and Characteristics for Community of Practice in a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조형미(Cho, Hyungmi) 김진희(Kim Jinhee) 나지연(Na Jiyeon) 김유정(Kim Yu Jung)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35권 제3호, 203~248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30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근무하는 학교가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공간이자 교육에 관해 연구하고 성찰하는 공간이 되도록 하기 위한 단위학교의 교사공동체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이론적으로 학습을 공동체의 참여양식의 변화로 보는 실행공동체 관점을 취하였고, 단위학교의 교사공동체를 실행공동체로 간주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근무하는 학교에서 교사들이 전문성을 향상해가고있는 것으로 보이는 수도권 소재의 한 학교를 사례로 선정하고, 이 학교의 교사공동체를 실행공동체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그 특성과 참여의 기체를 조사하였다. 사례 학교 관련 보고서 및 각종 문서를 수집하고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자료와 함께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행공동체의 특성으로는 학교의 교육목표와 핵심비전을 공유하고 있으며, 수업과 교육 활동에 대한 공적-비공식적 논의가 일상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료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 호혜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고, 교육 활동을 탐구(연구)하고 적용하는 교사연구 학습이 활발하게 일어나며, 교사들이 학교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클라우드 시스템, 열린회의, 자체연수와 같은 실행이 공유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또한 실행공동체 참여의 기제는 인적 측면, 환경적 측면, 성과적 측면으로 분석되었다. 인적 측면에서는 교사의 개별적 특성과 리더십이 참여 기제로 분석되었고, 환경적 측면에서는 물리적 환경과 제도적 지원 그리고 정책이 그 기제로 분석되었다. 성과적 측면에서는 교사 개별적인 성과와 학교의 교수활동의 성과가 참여 기제로 분석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단위학교의 교사공동체를 교사의 학습이 일어나는 실행공동체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rpreted the teachers’ community in a school from the viewpoint of community of practice.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community and the participation factors for forming such communities so that teachers can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and research in their schools. A school in Seoul, which is actively interacting with its colleagues and open to the school s educational activities, was selected for the case study, and a survey w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teachers.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COP) were shared with the school s educational goals and core vision and were confirmed with the public-informal discussions about class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at were common. In addition, we have formed a reciprocal relationship based on the trust of colleagues, and it is confirmed that teacher research study was actively explored (research) and there were applied educational activities with teachers possessing a sense of ownership of the school. Finally, program operations such as cloud systems, open meetings, and a self-training system were analyzed. We specifically analyzed the participation patterns of teachers in consideration of the participation level of COP with respect to the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the human, environmental, and performance aspects of the factors of forming a community of practice and discussed ways to support the unit school as a community of practic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과업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Rasch 모형을 활용한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지도안 평가 준거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과학교육에서의 다문화적 맥락을 중심으로 한 캐나다와 한국의 초등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 단위학교 교사공동체의 실행공동체 특성 및 참여의 기제
- 펜싱 플레쉬 동작의 하지 관절모멘트 분석
- 다문화 경험학습을 통한 글로벌 리더십 발달
- A Corpus-based Error Analysis of Spoken English Produced by University Students
- 중등교사의 그릿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유아교사에 대한 인식
-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대체교사 지원사업』 이용실태와 인식
- 다문화가정 초등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여가 의사소통역량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이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