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찰조직문화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202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Tool to Measure the Police Organizational Culture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박종문(Park Jong Moon) 박해룡(Park Hae Lyong)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5권 제5호, 57~6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한국의 새로운 경찰조직문화를 측정하기 위해 선행연구 검토를 거쳐 도출된 문항과 자체 개발한 문항을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통해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최근 자치경찰제의 전면적 시행으로 경찰조직의 패러다임이 크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변동은 자연스럽게 경찰조직 내부의 문화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이제까지 경찰조직문화 하위요인 중 발전문화, 혁신문화와 같은 변화를 측정하는 문항은 새로운 아이디어 제시, 직원 업무 방식 존중, 자기 계발 중시, 직원들의 조직혁신 정도 등과 같은 매우 단편적이거나 추상적인 문항으로 구성되어져 있었다.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을 통한 측정도구개발결과 자치경찰제에 대한 문항이 다수 적용되었으며, 이는 경찰조직의 혁신문화를 측정하는 도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through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questions derived from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the questions developed in-house to measure the new police organizational culture in Korea.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he paradigm of the police organization is changing significantly. Such policy implementation will naturally affect the culture within the police organization. However, until now, among the sub-factors of police organizational culture, the items measuring changes such as development culture and innovation culture consist of very fragmentary or abstract items such as presenting new ideas, respecting employee work methods, emphasizing self-development, and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of employees. there was.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tool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many questions about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ere applied, which is thought to be useful to measure the innovation culture of the police organiz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령운전자의 면허증 반납제도에 관한 교통딜레마
- 경찰조직문화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미래역량 기반 교육체계 구축 방안에 대한 고찰
- 증강현실기술 적용 무인항공기 시스템 운용 시 인적요인 고려사항
- 환유적 코로나 공포정치 해법에 대한 소고(小考)
- PX4-ROS2기반 자율비행 드론 시스템 개발
- COVID-19 전·후에 대한 초등학생 PAPS 체력요인 비교분석
- 경영자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기업 안전직 근로자의 직무재창조와 직무열의, 무형식학습 및 긍정심리자본의 구조적 관계
- 신교육목표분류학과 텍스트 마이닝에 의한 2015 개정 기술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