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교육목표분류학과 텍스트 마이닝에 의한 2015 개정 기술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분석
이용수 222
- 영문명
- Analysi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secondary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educational objectives taxonomy and text mining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임미가(Lim, Mi Ka) 김진수(Kim, Jin Soo)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5권 제5호, 23~3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중등 기술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신교육목표분류학과 텍스트 마이닝을 통하여 분석하고 그 특징을 도출하여, 향후 성취기준 진술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교육과정에 진술된 총 91개의 성취기준을 분류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분석한 결과 지식 차원은 비교적 균형적으로 분포되어 있었고, 인지과정 차원은 특정 영역에 편중되어 있었다.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2차원적으로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역시, 총 24개의 분류 영역 중 5개의 영역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텍스트 마이닝에 기초하여 분석한 결과 지식 차원의 ‘문제’와 인지과정차원의 ‘이해하다’가 상위인자로 선정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성취기준 진술에서 단원 특성을 고려하되, 인지과정 차원의 범주를 비교적 고르게 편성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성취기준의 내용 편성에 있어 불균형의 원인이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중등 기술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서술에 어떠한 지식과 어떠한 인지과정의 사용이 적절한지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통하여 성취기준 서술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추후 더 세분화된 목표 영역에 대하여 관련 연구가 진행될 것과, 성취기준과 수업목표, 교과내용, 평가와의 연계 등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 질 것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2015 revised secondary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educational objectives taxonomy and text mining, and to derive its characteristics, to obtain implications for future achievement standard statements. A total of 91 achievement standards stated in the curriculum are classified, and the conclusions of analyz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based on education objectives taxonomy, the knowledge dimension was distributed in a relatively balanced manner, and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was concentrated in a specific are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in two dimensions, it was found that 5 of the total 24 classification areas were concentrat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based on text mining, “problem” at the knowledge level and “understand” at the cognitive process level were selected as the top factors. It is suggested that related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more detailed objectives areas, and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the connection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instructional goals, subject content, and evalu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령운전자의 면허증 반납제도에 관한 교통딜레마
- 경찰조직문화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미래역량 기반 교육체계 구축 방안에 대한 고찰
- 증강현실기술 적용 무인항공기 시스템 운용 시 인적요인 고려사항
- 환유적 코로나 공포정치 해법에 대한 소고(小考)
- PX4-ROS2기반 자율비행 드론 시스템 개발
- COVID-19 전·후에 대한 초등학생 PAPS 체력요인 비교분석
- 경영자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기업 안전직 근로자의 직무재창조와 직무열의, 무형식학습 및 긍정심리자본의 구조적 관계
- 신교육목표분류학과 텍스트 마이닝에 의한 2015 개정 기술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