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BL을 활용한 베트남어 수업 설계와 운영
이용수 67
- 영문명
- Vietnamese class design and operation using Project Based Learning (PBL): Focusing on online real-time Vietnamese language education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강우(Lee, Kang-Woo)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28 No.2, 209~22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For the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of Vietnamese, the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Project Based Learning and tried to apply it to the class. The researcher analyzed prior studies of PBL classes, including English and other foreign languages, and applied the theory of PBL to Vietnamese language education subjects, designed PBL classes, and utilized them in classes. In addition, the process in which the learners perform tasks (student presentation, peer-faculty evaluation, evaluation opinion reflection process), the results,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on learners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BL methods could also be applied in Vietnamese classes. The learners reorganized the learning contents into his or her own knowled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er’s own thoughts, experience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by referring to the instructor’s teaching plan and lecture.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achieve more useful and viable knowledge by listening to other people’s opinions and thoughts about their own knowledg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and through correction and supplementation processes. Also noteworthy is that through the PBL class, the level of knowledge of each student increased rapidly.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 분석과 이론적 배경
III. PBL 수업의 설계와 운영
I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아-한, 한-아 커뮤니티통역 현황과 교육과정 연구
- 몽골어-한국어 번역 오류 분석 및 교육적 개선 방안
- Visualising Corpus-based Discourse Studies from 1995 to 2019 by Using a Bibliometric Analysis
- Does Flipped Learning at Fully Online Systems Enhance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 과업 유형 및 평가 효용성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 터키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고, -어서’의 의미지도 모형 연구
- The Effects of Vocabulary Depth and Text Reading Fluency on Reading Comprehension
-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베트남어 교수・학습
- ‘신북방 대상 국가’의 외국어 교육과정 및 한국어 교육과정 분석
- 한국 해외 홍보 매체에 나타난 문화소 번역 전략 연구
- 韓中美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어린이용 중국어교육 어플리케이션 현황 분석 연구
- Towards Activating the Role of Students Learning Arabic in Online Classes: Case Study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 PBL을 활용한 베트남어 수업 설계와 운영
- 힌디어 교육과정과 평가문항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