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프트웨어 혁신
이용수 33
- 영문명
- Innovation in Software:USPTO Patent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저자명
- 권남호(Namho Kwon)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책연구』제21권 제3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혁신의 정도를 파악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미국특허청(USPTO)의 실용특허(utility patents)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는 전체 산업에서 주요 혁신 국가들에 비해 낮은 소프트웨어 혁신 비중을 보였다. 전체 특허를 6개의 산업에 매칭(matching)한 후, 산업별 분석을 실시한 결과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청구범위 분석 결과, 소프트웨어 관련 특허는 하드웨어 관련 특허보다 그 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관련 특허는 주요 혁신 국가들의 소프트웨어 관련 특허에 비해 낮은 가치를 보였다. 본 연구는 IT 산업 외 다양한 산업과 국가들의 소프트웨어 혁신의 정도를 비교적 객관적인 특허 자료를 통해 파악한 데 의의가 있다. 소프트웨어 혁신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문성을 갖춘 소프트웨어 인력 확보가 중요하다고 생각되며, 이 외에 다른 정책들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Software technology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several industries.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level of software innovation of South Korea and other major countrie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nalyzes the USPTO’s utility patents granted from 1990 to 2014.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hare of software-related patents of South Korea was lower than other countries(The United States, Japan, Germany, and France). Analyzing each industry draws consistent results that South Korea’s innovation less software-intensive than the other countries. This paper compares the value of patents measured by the number of claims between the software-related patents and other patents: software-related patent’s value seems to be higher than the other patent’s value. This paper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level of software innovation of five major innovative countries in six industries. This paper implies that the shortage of skilled software engineers is one of the biggest obstacles to software innovation in South Korea. Other public policies should also be considered to enhance the capacity of software innovation in South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배경
Ⅲ. 자료 및 분석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