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유리더십이 조직공정성을 매개로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9
- 영문명
- The effect of shared leadership on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organizational fairness: Focused on civil servants of Namyangju City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저자명
- 이진춘(Jin-chun Lee) 현병환(Byung-hwan Hyun)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책연구』제21권 제3호, 171~20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초자치단체 공무원의 공유리더십과 정서적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공유리더십은 단일 리더가 아닌, 구성원 전체가 분산된 리더십을 수행함으로써 서로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보다 수평적인 조직 체계를 지향한다. 최근 조직 내 갑질 문제가 다수 발생하면서 공공부문에서도 수평적 조직문화를 수립하고자 노력하고 있는데, 이는 조직 구성원들이 인식하는 조직공정성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라 추측된다. 또한 공정하고 수평적인 업무 환경에서 구성원들의 정서적 몰입 또한 긍정적으로 변화할 것이라 기대된다. 본 연구는 이를 알아보기 위해 남양주시청에 근무하는 공무원 31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남양주시청 공무원들의 공유리더십은 조직공정성과 정서적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조직공정성은 정서적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조직공정성은 공유리더십과 정서적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부분적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 안에서 공유리더십의 확산이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공유리더십을 인적자원관리와 조직관리의 실효성 있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탐구하였고, 조직자원관리 측면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이를 공직을 수행하는 기관에서 보다 나은 업무 환경을 구축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fair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Shared leadership means that all members, not a single leader, influence each other by performing distributed leadership. It pursues a more horizontal organizational system. As a number of bullying issues in organizations have recently occurred, the public sector is also trying to establish a horizontal organizational culture, which is presumed to be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fairness perceived by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emotional immersion of employees will also change positively in a fair and horizontal work environmen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analyzed 313 civil servants working in Namyangju city to find out whether this idea is correct or not.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shared leadership of public officials in Namyangju City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fair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at organizational fairness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uggests that the spread of shared leadership within an organization can bring about positive effec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shared leadership tha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mean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that it provide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organizational resource manage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can be used to build a better work environment in institutions that carry out public goa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