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예 아카이브 구축방안 연구
이용수 173
- 영문명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Calligraphy Archive -With public institutions at the center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조병훈(Cho, byoung-hun)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39호, 149~17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28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예 아카이브 구축방안을 연구하고자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국내에 운영 중인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DA-Arts) 그리고 김달진미술자료연구소, 서예에서 대표적으로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의 시각예술 정보 아카이브의 성격을 정리하였다.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DA-Arts는 예술인과 예술단체 등록에 대한 문이 열려있으나 참여하는 동시대 작가가 전무함으로 향후 적극적인 사이트 홍보가 요구된다. 김달진미술연구소의 달진닷컴은 매우 다양한 부문의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을 엿볼 수 있었다. 오프라인 간행물 또한 전시 정보 및 전시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생성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는 비평 및 평론을 제외한 나머지 아카이브 전부는 일반인에게 언제든지 공개하는 오픈지향형을 가지고 있었다. 서예 아카이브를 효과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서예 아카이브의 구축방향을 제언하였다. 이에 대한 운영 방안으로 수집, 정리와 선별, 온라인 서비스의 측면을 살펴보았다. 한국 서예 아카이브와 관련된 모든 서예 관련 유관 기관들에 기록관리 전담자를 지정하고 기록물 중 공개해야 할 일부 기록을 한국 서예 아카이브로 이관시키는 시스템을 구축해야한다. 수집은 소극적인 수집이 아닌 적극적인 수집의 개념을 도입해야한다. 문헌자료 구입이나 구술 채록 등의 방법을 통하여 중요한 가치를 지닌 서예의 기록물을 수집한다. 정리와 선별은 기록학의 선별 및 평가 이론을 채용하고 적용하여 각각의 서예 특성에 맞는 기법을 개발해야 한다. 관련 기관들의 협력을 통한 협력망 전략과 정보 시스템 개념의 기록물 시스템의 평가, 미술 분야 아카이브 간의 정보공유 등의 융합성을 가지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앞서 사례에서 살펴보았듯이 기록의 이용과 홍보만이 한국 서예 아카이브가 다양한 가치를 창출해 내는데 큰 원동력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o study how to build a calligraphy archive, the Korea Art Digital Archives (DA-Arts), Kim Dal-jin Institute of Art and Materials, and Calligraphy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art information archive of the World Calligraphy Jeonbuk Biennale. DA-Arts of the Korea Arts Digital Archive is open to the registration of artists and art organizations, but there are no contemporary artists participating, so active site promotion is required in the future. Daljindotcom of Kim Dal-jin Institute of Art showed efforts to provide information in a wide variety of fields. Offline publications were also generating various contents based on exhibition information and exhibition space information. Finally, in the world book, the Jeonbuk Biennale had an open-oriented type that discloses all archives to the public at any time, except for criticism and criticism. A direction for establishing a calligraphy archive that can effectively manage the calligraphy archive was suggested. As an operation plan for this, aspects of collection, organization, selection, and online service were examined. A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designate a record management officer to all calligraphy-related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Korean Calligraphy Archive and transfer some of the records to be disclosed to the Korean Calligraphy Archive. Collection should introduce the concept of active collection rather than passive collection. Records of calligraphy with important value are collected through methods such as purchasing literature data or oral records. Theorem and selection should employ and apply the theory of selection and evaluation of recordings to develop techniques suitable for each calligraphy characteristic. It is required to have convergence such as evaluation of the cooperative network strategy through cooper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evaluation of the recording system of the concept of information system, and information sharing between archives in the art field. Therefore, as discussed in the case earlier, only the use and promotion of records will be a great driving force for the creation of various values for Korean calligraphy archives.
목차
Ⅰ. 서론
Ⅱ. 서예 아카이브 관리 운영의 현황
Ⅲ. 서예 아카이브 구축 방안의 제언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