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독교학교에서 종교교육의 방안에 대한 고찰
이용수 23
- 영문명
- A Study on Ways of Religious Education in Christian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강영택(Young Taek Kang)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27집, 193~21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학교 상황에서 기독교학교에서의 종교교육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지 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종교교육에 대해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첫째, 종교교육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해서 기독교학교는 제도적, 법적 규제에 적절하게 대응할 뿐 아니라 내적으로 종교교육의 내용을 충실하게 운영함으로 학교 내·외적 인정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둘째, 종교교육과 관련된 법규에 대한 고찰을 통해 기독교학교에서 학생의 종교적 자유와 학교의 종교교육적 자유를 조화시키는 것이 관건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종교교육의 유형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서는 종파교육적 종교교육과 교양교육적 종교교육으로 구분하는 기존의 분류방식에서 교육이 갖는 본질적인 성격을 고려하여 신앙교육적 종교교육과 영성교육을 위한 종교적 교육으로 구분하는 분류방식을 제안하였다. 종교교육에 대한 세 측면에서의 고찰을 토대로 기독교학교에서의 종교교육은 학교의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학교의 유형에 관계없이 종교교육이 기독교학교에서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종교교육에 대한 교육과정이 보다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하고, 종교교사 양성의 내용과 질이 향상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입시문제는 종교교육에 대해서도 큰 걸림돌이 되기 때문에 종교교육이 입시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지 못하면 종교교육은 위축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말하였다. 기독교학교에서 내실 있는 종교교육의 실시는 학생 개인의 실존적 삶을 건강하게 할 뿐 아니라 도덕성과 영성의 상실로 맞이하고 있는 우리사회의 위기를 극복하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desirable ways of religious education in Christian schools within a Korean school context. This study on the religious education was discussed in three aspects. First, I found through a historical review of religious education that Christian schools needed to respond appropriately to the institutional, legal regulatory as well as to get the inner and external recognition by operating faithfully the contents of the religious education in schools. Second, I found through a review of laws relating to religious education that it is crucial to reconcile the students’ religious freedom and the schools’ freedom of religious education. Third, I proposed,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the types of religious education, a new classification scheme, which distinguished religious education as faith education and religious education as spiritual education by considering the essential nature of education. The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 includes sectarian education in religious education and liberal education in religious education. Religious education in Christian schools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school, based on the investigation in three aspects of religious education. However, regardless of the type of school, for religious education in Christian schools to become more active, religious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and more diverse, and the quality and contents of religion teacher training should be improved. Since the issue of college entrance exam tends to be an obstacle to religious education in Korea, religious education would be wither if it cannot help solve the problem of college entrance exam. Substantial religious education in Christian schools could make the existential life of individual students healthy as well as overcome the crisis of our society resulted from the loss of morality and spiritualit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우리나라 기독교학교에서 종교교육의 변천사
Ⅲ. 종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에 대한 관련법규
Ⅳ. 종교교육의 필요성과 유형
Ⅴ. 기독교학교에서 종교교육의 방안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독학생들의 세계시민의식과 교회교육의 방향
- 구심력에서 원심력으로
- 바람직한 교사상에 기초한 종교교사양성 방안연구
- 한국기독교교육학회의 미래 전망과 과제
- 형식적 교사교육에서 비형식적 학습공동체로의 확장에 관한 연구
- 「기독교교육논총 」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적 과제
- 다문화 기독교교육 관점에서 북한이탈주민 학생교육
- 한국교회교육의 변화를 위한 과제들
- 기독교영성교육 연구방법론에 관한 고찰
- 한국 감리교회 교회학교의 ‘분반공부와 활동 ’유형 분석과 제언
- 한국기독교장로회 교단의 교사교육 효율성 증진 방안
- 한국사회의 변화와 교회여성교육
- 성인기독교교육에 대한 담화적 접근
- 인격 재형성을 위한 신학교육의 방향
- 기독교학교에서 종교교육의 방안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율법과 복음의 관계 - 루터와 칼빈과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입장 비교를 통한 연구
- 개인구원을 넘어 사회적 칭의론을 향하여 - 구원론의 지평 확대
- 코메니우스의 구원론 - 믿음, 소망, 사랑과 이신칭의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