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사회의 변화와 교회여성교육
이용수 5
- 영문명
- The Social Changes and Church Women Education in Korea: from the Beginning of 1960s to the End of 1980s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임희숙(Hee Sook Lim)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27집, 217~24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에서 개신교 선교와 함께 이루어진 교회여성교육은 19세기 말 국가가 처한 위기 상황에서 구국운동의 일환으로 허용되었다. 이러한 교회여성교육은 선교의 목적만이 아니라 시대적 필요에 부응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었기에 교회와 사회의 소통을 지향하는 교육의 한 모델로 평가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교회여성교육의 특성이 한국 현대사의 격동기에 해당하는 1960-80년대에 어떻게 나타났는가를 여성주의 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그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업화가 진행된 시기에 교회여성교육은 소외되고 상실감을 경험하는 도시노동자들을 전도하는 교육으로서 교회성장에 일조하였다. 2. 민주화를 위한 투쟁이 벌어지고 새로운 신학적 논의가 활발하던 시기에 교회여성교육은 여성들의 사회의식과 여성의식을 함양하고 여성 정체성을 확립하는 교육을 전개하여 여성들의 능동적인 사회참여와 교회개혁을 도모하게 하였다. 3. 민족 자주화와 민족 분단의 문제를 논의하고 그 해결을 위한 실천이 요구되었던 시기에 교회여성교육은 여성들의 평화적 잠재력을 개발하여 민족의 역사를 새롭게 형성하도록 기여하는 교육을 강조하였다. 한 마디로, 교회여성교육은 급변하는 시대적 요구에 대응하며 여성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역량을 강화하여 세상에서 복음을 증거하는 교회의 사명과 책임을 감당하는 데 일조하였다. 이와 같은 교육 전통을 창조적으로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일은 여성들이 한국교회와 한국사회의 개혁에 주체적으로 참여하게 만드는 중요한 작업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church women education, which began together with the protestant mission in Korea, was permitted by the authority in the framework of the national salvation movement in the critical situation at the end of the 19thcentury. We can see its own characters in fulfilling missionary goals and satisfying contemporary requisites, therefore we can evaluate it as model of the education which is oriented at communication between church and society. In the article I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t education how such characters of the church women education have been expressed from the beginning of 1960s to the end of 1980s in which the Korean society has been thrown into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 As results of analysis I make clear three points as follow: 1. In the period of industrialization the church women education contributed to the church growth by pulling alienated and deprived urban laborers into the church life; 2. In the period of struggles for democracy, in which new trends of theologies were introduced into the Korean churches, it promoted the social and feminist consciousness of church women, so that they could establish their identity and participate actively in the social reform as well as the church reform movement; 3. In the period, in which people have discussed about solving the problems of national division and delayed national independence, it has put emphasis on the education to develop the latent powers of church women for making peace and shaping a new national history. To sum up, the church women education has met the contemporary tasks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established church women’s identity and empowered them to be in charge of the mission and responsibility of the church to make testimony of the gospel in the world. It would be an important work, so I think, to succeed to and develop creatively such traditions of the church women education in order to invite church women to active participation in social and church reform in Korea.
목차
Ⅰ. 시작하는 말
Ⅱ. 여성주의 교육에 대한 이해
Ⅲ. 1960-80년대 한국사회의 변화에 따른 교회여성교육의 특성
Ⅳ. 맺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독학생들의 세계시민의식과 교회교육의 방향
- 구심력에서 원심력으로
- 바람직한 교사상에 기초한 종교교사양성 방안연구
- 한국기독교교육학회의 미래 전망과 과제
- 형식적 교사교육에서 비형식적 학습공동체로의 확장에 관한 연구
- 「기독교교육논총 」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적 과제
- 다문화 기독교교육 관점에서 북한이탈주민 학생교육
- 한국교회교육의 변화를 위한 과제들
- 기독교영성교육 연구방법론에 관한 고찰
- 한국 감리교회 교회학교의 ‘분반공부와 활동 ’유형 분석과 제언
- 한국기독교장로회 교단의 교사교육 효율성 증진 방안
- 한국사회의 변화와 교회여성교육
- 성인기독교교육에 대한 담화적 접근
- 인격 재형성을 위한 신학교육의 방향
- 기독교학교에서 종교교육의 방안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율법과 복음의 관계 - 루터와 칼빈과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입장 비교를 통한 연구
- 개인구원을 넘어 사회적 칭의론을 향하여 - 구원론의 지평 확대
- 코메니우스의 구원론 - 믿음, 소망, 사랑과 이신칭의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