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0.03% Tacrolimus 연고의 소아 플릭텐각막염 치료 효과
이용수 4
- 영문명
- The Therapeutic Effects of a 0.03% Tacrolimus Ointment on Childhood Phlyctenular Keratiti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조연지(Yeon Ji Jo) 김재현(Jae Hyun Kim) 이종수(Jong Soo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2,number7, 888~894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7.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장기간의 점안 스테로이드 치료에도 호전이 없거나 안압상승 또는 백내장과 같은 부작용이 우려되는 소아 플릭텐각막염 환자에서 0.03% Tacrolimus 연고(Protopic)의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국소 스테로이드 치료를 최소 3개월 이상 장기간 시행하였으나, 치료에 반응이 없었던 플릭텐각막염 환자 5명 7안이 포함되었다. 사용하던 국소 스테로이드는 점안 횟수를 감량하면서, 0.03% Tacrolimus 연고와 0.3% Ofloxacin 연고를 함께 하루에 1회 1-2주간 사용하도록 처방하였다. 첫 방문과 치료 종료 시점에서 logarithm of minimal angle of resolution (LogMAR) 시력과 치료 전후의 전안부 사진을 통해 각막신생혈관 범위 및 각막혼탁 범위를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병변 크기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나이는 6.8 ± 3.0세(범위, 3-9세)였고, 평균 치료 기간은 8.0 ± 2.0일(범위, 5-10일)이었다. 치료 전 시력은 LogMAR 0.42 ± 0.32, 치료 후 시력은 LogMAR 0.19 ± 0.22로 치료 후 시력이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0.026). 치료 후 7안 모두에서 각막신생혈관과 플릭텐은 호전되었고, 2안에서 각막혼탁도 호전되었다.
결론: 0.03% Tacrolimus 연고는 3개월 이상 장기간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소아 플릭텐각막염에서 안전한 치료의 한 가지 방법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We explored the therapeutic effects of a 0.03% tacrolimus ointment (Protopic) on steroid-resistant phlyctenular keratitis in children.
Methods: We enrolled seven eyes of five children with recurrent phlyctenular keratitis despite 3 months of steroid treatment. The topical steroids were tapered and the patients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0.03% tacrolimus and 0.3% ofloxacin ointment. The logarithm of minimal angle of resolution (logMAR) visual acuity, corneal neovascularization status, and changes in corneal opacity between the baseline and final visit were checked on anterior photographs using Image J software.
Results: The average patient age was 6.8 ± 3.0 years (range, 3-9 years) and the treatment duration 8.0 ± 2.0 days (range, 5-10 days). The baseline logMAR visual acuity was 0.42 ± 0.32 and the final value 0.19 ± 0.22. Visual acuity thus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reatment (p = 0.026). Corneal neovascularization and phylctenulosis improved in all seven eyes; the fibrotic corneal opacity decreased in two eyes.
Conclusions: Topical 0.03% tacrolimus ointment may usefully treat steroid-resistant phlyctenular keratitis of childhood.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신경주위염으로 발현된 사르코이드증
- 쇼그렌증후군 건성안 환자에서 0.1% 싸이클로스포린 A 점안액의 순응도 조사
- 처음 진단된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라니비주맙 치료 및 연장 방법의 1년 결과
- 펨토초레이저 백내장수술 후 건성안에 대한 0.15% 무보존제 히알루론산나트륨의 임상적 효과
- 섬유주세포에서 항혈관내피성장인자가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 소아에서 전신마취하 측와위 자세에서 시행한 야그레이저후낭절개술의 유용성
- 0.03% Tacrolimus 연고의 소아 플릭텐각막염 치료 효과
- 콩다래끼로 오인되었던 8세 여아의 합성섬유육아종
- 망막색소상피변성 환자에서 백내장수술의 장기 임상결과
- 증식당뇨망막병증의 유리체절제술 후 신생혈관녹내장의 발생률과 위험인자
- 진균각막염의 임상양상 및 예후
-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산정특례 재등록이 불가한 환자의 비율과 원인
-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눈꺼풀처짐 환자의 눈꺼풀 깜박임 특성 분석
-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과 애플리버셉트 주입술의 비교
- 7번 염색체 장완 미세결실 환아에서 나타난 안과적 이상 2예
- 평면부 유리체절제술과 실리콘기름충전술을 시행한 눈에서 망막층 두께의 변화 분석
- 코-눈물주머니 점막피판을 이용한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결과
- 비접촉안압계와 초음파 각막두께측정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중심각막두께의 비교 분석
- 눈썹 아래에 발생한 연골모양땀관종
- 위눈꺼풀 지방종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