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접촉안압계와 초음파 각막두께측정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중심각막두께의 비교 분석
이용수 3
- 영문명
- Comparison of Central Corneal Thickness Measured by Tono-pachymetry and Ultrasound Pachymetr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박혜연(Hye Yeon Park) 신혜영(Hye-Young Shin)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2,number7, 904~909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7.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중심각막두께(central corneal thickness [CCT]) 측정 기능이 탑재된 비접촉안압계(Tono-pachymetry)와 초음파 각막두께측정계(ultrasound pachymetry [USP])를 이용하여 CCT를 측정하고 비교하여 Tono-pachymetry의 유용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90안을 대상으로 Tono-pachymetry와 USP를 이용하여 측정한 CCT를 비교하고 기기 간 측정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CCT에 따라 두 기기 측정값의 차이(△CCT=tono-pachymetry-USP)가 달라지는 것을 보기 위해 전체 대상안을 USP로 측정한 CCT를 기준으로 가장 얇은 환자부터 세 군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Tono-pachymetry로 측정한 CCT는 USP를 이용하여 측정한 CCT보다 얇았다(523.26 ± 32.93 vs. 527.08 ± 37.33 μm, p=0.020). 두 결과값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912, p<0.001). 세 군의 분석 결과, Tono-pachymetry와 USP로 측정한 CCT의 차이는 group 1 5.40 ± 12.13 μm, group 2 -6.37 ± 15.07 μm, group 3 -10.50 ± 14.39 μm로 세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결론: Tono-pachymetry로 측정한 CCT는 USP의 측정값에 비해서 평균적으로는 얇게 측정되었으나, 중심각막이 얇을수록 두껍게 측정되고, 중심각막이 두꺼울수록 얇게 측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영문 초록
Purpose: We compared the accuracy of central corneal thickness (CCT) measurements according to CCT measured by noncontact Tono-pachymetry and ultrasound pachymetry (USP).
Methods: CCT was measured in 90 eyes of 90 subjects by two optometrists. The CCT measurements were compared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measurements were analyzed. To evaluate whether the measurements varied depending on CCT,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CCT (group 1: thin thickness group; group 2: medium thickness group; and group 3: thick thickness group). The differences in CCT obtained by the two devices (△CCT = Tono-pachymetry-USP) were compared and analyzed among the three groups.
Results: The average CCT measurements by Tono-pachymetry and USP were 523.26 ± 32.93 μm and 527.08 ± 37.33 μm, respectively. CCT by Tono-pachymetry was significantly thinner than by USP (△CCT= -3.82 ± 15.34, p = 0.020). The two measurements were strongly correlated (r = 0.912, p < 0.001). The △CCT values were 5.40 ± 12.13 μm in group 1, -6.37 ± 15.07 μm in group 2, and -10.50 ± 14.39 μm in group 3 (p < 0.001).
Conclusions: CCT measured by tono-pachymetry was thinner on average compared to the value measured by USP and the differences in measurements between the two devic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CCT. The thinner the CCT, the thicker the measurement, and the thicker the CCT, the thinner the measurement. Therefore, this trend should be considered when interpreting tono- pachymetry results in clinical practice.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신경주위염으로 발현된 사르코이드증
- 쇼그렌증후군 건성안 환자에서 0.1% 싸이클로스포린 A 점안액의 순응도 조사
- 처음 진단된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라니비주맙 치료 및 연장 방법의 1년 결과
- 펨토초레이저 백내장수술 후 건성안에 대한 0.15% 무보존제 히알루론산나트륨의 임상적 효과
- 섬유주세포에서 항혈관내피성장인자가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 소아에서 전신마취하 측와위 자세에서 시행한 야그레이저후낭절개술의 유용성
- 0.03% Tacrolimus 연고의 소아 플릭텐각막염 치료 효과
- 콩다래끼로 오인되었던 8세 여아의 합성섬유육아종
- 망막색소상피변성 환자에서 백내장수술의 장기 임상결과
- 증식당뇨망막병증의 유리체절제술 후 신생혈관녹내장의 발생률과 위험인자
- 진균각막염의 임상양상 및 예후
-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산정특례 재등록이 불가한 환자의 비율과 원인
-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눈꺼풀처짐 환자의 눈꺼풀 깜박임 특성 분석
-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과 애플리버셉트 주입술의 비교
- 7번 염색체 장완 미세결실 환아에서 나타난 안과적 이상 2예
- 평면부 유리체절제술과 실리콘기름충전술을 시행한 눈에서 망막층 두께의 변화 분석
- 코-눈물주머니 점막피판을 이용한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결과
- 비접촉안압계와 초음파 각막두께측정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중심각막두께의 비교 분석
- 눈썹 아래에 발생한 연골모양땀관종
- 위눈꺼풀 지방종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