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과 애플리버셉트 주입술의 비교

이용수  10

영문명
Comparison of Intravitreal Bevacizumab and Aflibercept Injections for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박민수(Min Soo Park) 이승준(Seung Joon Lee)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2,number7, 957~962쪽, 전체 6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7.15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환자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과 애플리버셉트 주입술 간의 치료 효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처음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으로 진단받고 유리체강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주사를 받은 환자 49명 51안을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주사 종류에 따라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을 주입한 군과 애플리버셉트를주입한 군으로 구분하였고, 시술에 대한 반응이 없거나 악화 시 동일한 약제로 반복 치료하였다. 치료 이후 3개월 이상의 추적 관찰을시행하였고, 최대교정시력과 중심맥락막두께 변화, 치료까지 시행된 주사 횟수 및 기간을 분석하였다. 결과: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과 애플리버셉트 주입술 모두 치료 전후 의미 있는 시력변화(p<0.0001, p=0.001)와 중심맥락막두께 변화를 보였다(p<0.0001, p=0.011). 하지만 주입 약제에 따른 치료 전후 최대교정시력 및 중심맥락막두께 변화량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주입 약제에 따른 치료까지 시행된 주사 횟수 및 기간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환자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또는 애플리버셉트 주입술 모두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의 구조적 및 기능적 회복에 효과가 있었으나, 약제의 종류에 따른 기능적 그리고 해부학적 호전의 정도, 치료까지 시행된 주사 횟수 및 기간의 차이는 없었다.

영문 초록

Purpose: We examined differences in the treatment effects of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s and intravitreal aflibercept injections in patients with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Methods: This retrospective analysis included 51 eyes of 49 patients who received intravitreal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gent injections after initial diagnosis with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received an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and another one received an intravitreal aflibercept injection. Patients with no reaction to treatment or a worsened condition, received repeat treatment with the same therapy. After treatment, patients were monitored for >3 months. Data were collected regarding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subfoveal choroidal thickness, injection number, and treatment duration. Results: Both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s and intravitreal aflibercept injections led t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CVA (p < 0.0001, p = 0.001) and subfoveal choroidal thickness (p < 0.0001, p = 0.011), compared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However, no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observed in mean change of BCVA or subfoveal choroidal thickness. In addi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injection number and treatment duration.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both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s and intravitreal aflibercept injections are effective treatment method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edicines in terms of functional and anatomical recovery, or the injection number and treatment duration.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민수(Min Soo Park),이승준(Seung Joon Lee). (2021).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과 애플리버셉트 주입술의 비교. 대한안과학회지, 62 (7), 957-962

MLA

박민수(Min Soo Park),이승준(Seung Joon Lee).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과 애플리버셉트 주입술의 비교." 대한안과학회지, 62.7(2021): 957-9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