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쇼그렌증후군 건성안 환자에서 0.1% 싸이클로스포린 A 점안액의 순응도 조사
이용수 10
- 영문명
- Assessment of the Compliance with 0.1% Cyclosporine A in Dry-Eye Patients with Sjögren s Syndrome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박도희(Do Hee Park) 진형남(Hyung Nam Jin) 윤희수(Hee Su Yoon) 윤현정(Hyeon Jeong Yoon) 윤경철(Kyung-Chul Yoon)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2,number7, 895~90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7.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쇼그렌증후군 건성안 환자에서 0.1% 싸이클로스포린 A 점안액의 순응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6개월 이상 0.1% 싸이클로스포린 A 점안액을 사용한 쇼그렌증후군 건성안 환자 67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다. 성별, 나이, 사용 안약의 수, 약물 사용 시 부작용, 스테로이드 점안액의 사용 유무, 외래진료 간격을 조사하였으며, 안구표면질환지수, 눈물막파괴시간, 쉬르머검사 수치, 각막형광염색점수를 평가하였다. 대상 환자를 순응도 50% 기준으로 나누어, 순응도가 좋은 군과 좋지 않은 군에 따른 관련 인자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67명의 환자 중 순응도가 좋은 군은 36명(53.7%), 순응도가 좋지 않은 군은 31명(46.3%)이었다. 경과 관찰 6개월째, 순응도가 좋은 군에서 순응도가 좋지 않은 군에 비해 긴 눈물막파괴시간(p=0.03) 및 낮은 각막형광염색점수(p=0.04)를 보였다. 부작용 발생 비율은 39명(58.2%)이었으며, 가장 흔한 부작용의 종류는 찌르는 듯한 통증(71.8%)이었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건성안 증상이 심한 경우(p=0.03), 스테로이드 점안액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p=0.02), 외래진료 간격이 긴 경우(p=0.02)가 순응도를 떨어뜨리는 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쇼그렌증후군 건성안 환자의 0.1% 싸이클로스포린 A 점안액의 순응도를 떨어뜨리는 인자로 건성안 증상이 심한 경우, 외래진료 간격이 긴 경우, 스테로이드 점안액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상기 인자들을 고려하는 것이 순응도를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겠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compliance with 0.1% cyclosporine A in dry eye patients with Sjögren s syndrome and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compliance.
Methods: This study included 67 dry eye patients with Sjögren s syndrome who had used 0.1% cyclosporine A for over 6 months. Clinical parameters including sex, age, the number of eye drops used, side effects, the use of steroid eye drops, and the visit interval were investigated. Additionally,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tear break-up time (TBUT), Schirmer test score, and corneal fluorescein staining (CFS) score were assessed.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compliant and non-compliant groups, using a criterion of 50% compliance; relevant factors were evaluated accordingly.
Results: Of the 67 patients, 36 (53.7%) were classified into the compliant group and 31 (46.3%) into the non-compliant group. Compared to the non-compliant group, the compliant group showed a longer TBUT (p = 0.03) and a lower CFS score (p = 0.04) at 6 months of follow-up. Altogether, 39 subjects (58.2%) experienced side effects, of which the most common was stinging pain (71.8%).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severe dry-eye symptoms (p = 0.03), non-use of the steroid eye drops (p = 0.02), and longintervals between exam vitists (p = 0.02) were identified as factors reducing compliance.
Conclusions: Factors related to a decrease in the compliance with 0.1% cyclosporine A in dry-eye patients with Sjögren s syndrome, included severe dry eye symptoms, long visit intervals, and non-use of steroid eye drops. Taking these factors into consideration may help increase patient compliance.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신경주위염으로 발현된 사르코이드증
- 쇼그렌증후군 건성안 환자에서 0.1% 싸이클로스포린 A 점안액의 순응도 조사
- 처음 진단된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라니비주맙 치료 및 연장 방법의 1년 결과
- 펨토초레이저 백내장수술 후 건성안에 대한 0.15% 무보존제 히알루론산나트륨의 임상적 효과
- 섬유주세포에서 항혈관내피성장인자가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 소아에서 전신마취하 측와위 자세에서 시행한 야그레이저후낭절개술의 유용성
- 0.03% Tacrolimus 연고의 소아 플릭텐각막염 치료 효과
- 콩다래끼로 오인되었던 8세 여아의 합성섬유육아종
- 망막색소상피변성 환자에서 백내장수술의 장기 임상결과
- 증식당뇨망막병증의 유리체절제술 후 신생혈관녹내장의 발생률과 위험인자
- 진균각막염의 임상양상 및 예후
-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산정특례 재등록이 불가한 환자의 비율과 원인
-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눈꺼풀처짐 환자의 눈꺼풀 깜박임 특성 분석
-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과 애플리버셉트 주입술의 비교
- 7번 염색체 장완 미세결실 환아에서 나타난 안과적 이상 2예
- 평면부 유리체절제술과 실리콘기름충전술을 시행한 눈에서 망막층 두께의 변화 분석
- 코-눈물주머니 점막피판을 이용한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결과
- 비접촉안압계와 초음파 각막두께측정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중심각막두께의 비교 분석
- 눈썹 아래에 발생한 연골모양땀관종
- 위눈꺼풀 지방종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