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거시경제변수, 글로벌 경제불확실성, 심리지수가 한국 주식시장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75
- 영문명
- Effects of Macroeconomic Variables, Global Economic Uncertainty, and Sentiment on Korean Stock Market Volatility: Application of a GARCH-MIDAS Model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김부권(Bu-Kwon Kim) 최기홍(Ki-Hong Choi) 윤성민(Seong-Min Yoon)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3 No.4, 1699~171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거시경제변수, 글로벌 경제불확실성, 심리지수와 같은 정보변수가 한국 주식시장의 변동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본다. 이를 위하여 금융위기 이후의 기간인 201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기간의 KOSPI 200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GARCH-MIDAS 모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시경제변수들의 영향을 살펴보면, 산업생산지수, 생산자물가지수, 환율의 저빈도 장기 변동성은 주식시장의 총변동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CD 유통수익률의 저빈도 장기 변동성은 주식시장의 총변동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지수 및 글로벌 불확실성지수별로 주식시장의 총변동성 추정결과를 보면, 경제심리지수, 기업실사지수, 소비자동향지수의 저빈도 장기 변동성은 주식시장의 총변동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U.S. EPU와 거시불확실성 지수의 저빈도 장기 변동성은 주식시장의 총변동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저빈도 정보변수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분산비율을 보면, 거시경제변수 중에는 생산자물가지수의 설명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지수 중에는 경제심리지수가, 글로벌 경제불확실성지수 중에는 거시불확실성지수의 설명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저빈도 변수 중 글로벌 경제불확실성지수와 심리지수가 국내 거시경제변수에 비해 설명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한국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실물변수와 더불어 심리지수와 글로벌 경제불확실성지수를 함께 고려해야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how information variables such as macroeconomic variables, global economic uncertainty variables, and sentiment index variables affect stock market volatility in Korea. To analyze this impact, the post-financial crisis period is made up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20, and empi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the GARCH-MIDAS model using the KOSPI 200 variable.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variables show that long-term volatility in industrial IP, PPI, unemployment rates, and exchange rates increase total volatility in the stock market, while long-term volatility in CD yield reduces total volatility in the stock market. Second, estimates of total volatility in the stock market by sentiment and uncertainty index show that long-term volatility in ESI, BSI, and CSI reduces total volatility in the stock market, while U.S. EPU and the macro uncertainty increase total volatility in the stock market. Third, the variance ratio of the low-frequency variable showed the highest explainability of the PPI among macroeconomic variables, the ESI, and macro uncertainty index. Especially, the macro uncertainty and ESI among low-frequency variables be found to be more explainable than domestic macroeconomic variables, confirming that sentiment index and global economic uncertainty must be considered along with real variables.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분석방법 및 자료
4. 실증분석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족 친화적 상사 행동 측정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암등록 자료에 대한 부산지역 소지역 분석
-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최근 10년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연구동향분석
- 회복마취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의료인 온라인 커뮤니티 e-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분류 분석을 위한 명목형 예측변수 변환 방법
-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연구
- 강화학습을 통한 돼지 도매시장 수급 의사결정
- 응급의료종사자의 수면의 질, 피로와 직무몰입에 관한 연구
- 낙상을 경험한 노인의 악력 수준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 NHISS를 이용한 폐암 환자의 생존분석 및 예후 연구
- 52주 고가와 주가 모멘텀 투자전략
- 비상장기업의 무형자산이 기업이익에 미치는 영향
- Fama-French 3요인과 동적 요인의 비교
- 거시경제변수, 글로벌 경제불확실성, 심리지수가 한국 주식시장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 보고되지 않은 감염자와 정부의 방역정책 순응도를 고려한 한국 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확산 수리 모델링
- 식용 고사리 집단의 공간적 상관관계 분석
- 개인적 사고 경험이 불안전감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응급실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감염관리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Selection of Functional Logistics Service Providers: AHP and DEMATEL Application
- Construction of Synaptic Neural Network for Genetic Interaction Analysis
- 분위 회귀모형을 이용한 대졸자 직업만족도 분석
- 약물유해반응 사례의 탐색을 위한 수정 불균형 비 실마리 측도의 제안
- 응급외상간호사의 직무배태성과 일과 삶의 균형이 이차성 외상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및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2020년 장애인 경제활동 실태조사 표본설계 사례연구
-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영성과 영적안녕이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 탐색과 가격분산
- 사회복지비 지출이 지방세수입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 기지국 데이터를 이용한 격자인구 추정
- 함수형 자료 기법을 활용한 평균 기온의 변화점 분석
- 병원 입원 경험이 있는 노년층의 환자 만족도 관련 요인
- 간호대학생을 위한 인성함양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세로토닌의 생행동 간호연구 적용 가능성 탐색
- Prelude to Machine Learning-Based IRT Research: Bayesian Item Parameter Recovery
- 우량체보험 가입조건에 대한 근시안적 편향과 평가모드에 따른 선호역전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BEST
-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탐색
- 대학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패턴 분석 및 이탈 예측: H 대학교를 중심으로
- 가정 내 아동학대 행위자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중심으로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NEW
- 생애주기별 경제문제와 결혼생활 평가가 결혼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시간 흐름에 따른 정서 편향의 변화: 반응시간과 표류 확산 모델을 활용한 분석
- PLAS 기반 커뮤니티 텍스트 분석: 정치적 성향에 따른 언어 및 심리 특성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