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영성과 영적안녕이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3
- 영문명
- The Effects of Senior Nursing Students Spirituality and Spiritual Well-being toward Spiritual Care Competency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최금희(Gumhee Choi) 홍민주(Minjoo Hong) 권수혜(Suhye Kwon)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3 No.4, 1829~184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영성, 영적안녕, 영적간호역량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변수가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울산지역 소재 일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4학년 25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서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종교의 중요성(F=3.896, p=.004), 전공만족도(F=8.086, p<.001), 학업성적(F=5.842, p=.003), 내세에 대한 믿음(t=.674, p=.023), 실습 중 영적간호 경험(t=3.946, p=.025)에 따라 영적간 호역량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적간호역량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성(β=.438, p<.001), 영적안녕(β=.136, p=.014), 실습 중 영적간호 경험(β=.130, p=.013)이 영적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35.0%로 나타났다. 따라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역량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영성을 강화하고 영적안녕을 증진할 수 있는 영적간호역량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간호학부 정규 교육과정을 통해 영적간호실습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degree of spirituality, spiritual well-being, and spiritual care competency for senior nursing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se variables on spiritual care competency. Data were collected from 256 student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The importance of religion (F=3.896, p=.004), satisfaction with major (F=8.086, p<.001), academic achievement (F=5.842, p=.003), existence of afterlife (t=.674, p=.023), and spiritual care experience during practice (t=3.946, p=.025)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piritual care competency.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confirm the factors affecting spiritual care competency, spirituality (β=.438, p<.001), spiritual well-being (β=.136, p=.014), experience of spiritual care (β=.130, p=.013) was identified as a factor affecting the spiritual care competency, and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35.0%. Therefore, to enhance the spiritual care competency of senior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n education program that can strengthen spirituality and promote spiritual well-being. In addition, opportunities for spiritual nursing practice should be provided through the regular curriculum.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족 친화적 상사 행동 측정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암등록 자료에 대한 부산지역 소지역 분석
-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최근 10년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연구동향분석
- 회복마취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의료인 온라인 커뮤니티 e-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분류 분석을 위한 명목형 예측변수 변환 방법
-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연구
- 강화학습을 통한 돼지 도매시장 수급 의사결정
- 응급의료종사자의 수면의 질, 피로와 직무몰입에 관한 연구
- 낙상을 경험한 노인의 악력 수준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 NHISS를 이용한 폐암 환자의 생존분석 및 예후 연구
- 52주 고가와 주가 모멘텀 투자전략
- 비상장기업의 무형자산이 기업이익에 미치는 영향
- Fama-French 3요인과 동적 요인의 비교
- 거시경제변수, 글로벌 경제불확실성, 심리지수가 한국 주식시장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 보고되지 않은 감염자와 정부의 방역정책 순응도를 고려한 한국 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확산 수리 모델링
- 식용 고사리 집단의 공간적 상관관계 분석
- 개인적 사고 경험이 불안전감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응급실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감염관리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Selection of Functional Logistics Service Providers: AHP and DEMATEL Application
- Construction of Synaptic Neural Network for Genetic Interaction Analysis
- 분위 회귀모형을 이용한 대졸자 직업만족도 분석
- 약물유해반응 사례의 탐색을 위한 수정 불균형 비 실마리 측도의 제안
- 응급외상간호사의 직무배태성과 일과 삶의 균형이 이차성 외상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및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2020년 장애인 경제활동 실태조사 표본설계 사례연구
-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영성과 영적안녕이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 탐색과 가격분산
- 사회복지비 지출이 지방세수입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 기지국 데이터를 이용한 격자인구 추정
- 함수형 자료 기법을 활용한 평균 기온의 변화점 분석
- 병원 입원 경험이 있는 노년층의 환자 만족도 관련 요인
- 간호대학생을 위한 인성함양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세로토닌의 생행동 간호연구 적용 가능성 탐색
- Prelude to Machine Learning-Based IRT Research: Bayesian Item Parameter Recovery
- 우량체보험 가입조건에 대한 근시안적 편향과 평가모드에 따른 선호역전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BEST
-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탐색
- 대학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패턴 분석 및 이탈 예측: H 대학교를 중심으로
- 가정 내 아동학대 행위자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중심으로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NEW
- 생애주기별 경제문제와 결혼생활 평가가 결혼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시간 흐름에 따른 정서 편향의 변화: 반응시간과 표류 확산 모델을 활용한 분석
- PLAS 기반 커뮤니티 텍스트 분석: 정치적 성향에 따른 언어 및 심리 특성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