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음식관광 발전을 위한 음식점 수용태세지수 개발
이용수 162
-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Restaurant Preparedness Index for Developing Regional Food Tourism: The Usage of Delphi Technique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오문향(Oh, Munhyang)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36권 제4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7.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별 음식관광 수용태세를 정확히 판단하고 비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음식점 수용태세지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관광/외식업계 전문가인 학계 15명, 업계 5명, 공공 7명의 총 27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활용하여 지표들의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상위개념 8개 상위개념과 25개 하위개념, 이에 따르는 총 84개 세부항목에서 출발하여 최종적으로 8개 상위개념과 18개 하위개념, 71개 세부항목으로 정제되었다. AHP를 통해 도출해낸 상위개념 중요도를 살펴보면, ‘음식(23.7%)’이 가장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고, 그 뒤를 이어 ‘위생안전(17.1%)’, ‘서비스(13.8%)’, ‘가격(10.6%)’, ‘명성/평(9.1%)’, ‘입지(9.0%)’, ‘관광연계(8.5%)’, ‘물리적 환경(8.4%)’ 순으로 나타났다. 상위 10개에 랭크된 세부항목은 ‘직원의 개인위생(0.60%)’, ‘가시성(0.50%)’, ‘맛(0.43%)’, ‘청결한 위생복(0.40%)’, ‘주요 간선도로와의 접근 용이성(0.40%)’, ‘가격 정찰제 시행 여부(0.29%)’, ‘메뉴 전문성(0.28%)’, ‘주변 상권 동일 메뉴 대비 가격(0.26%)’, ‘온라인 및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등록 여부(0.25%)’, ‘지역특성을 반영한 메뉴로 구성되었는지 여부(0.25%)’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음식점 수용태세지수는 지역의 음식관광 수용태세를 점검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유용한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연구에서는 음식점 수용태세지수를 실제 데이터에 적용하여 지역별로 비교하고 지수가 현실을 적절히 반영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지수를 정제·보완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Restaurant Preparedness Index as a means to accurately determine and compare the preparedness status of restaurants by region. A total of 27 tourism/restaurant industry experts from 15 academia, 5 industry and 7 public were surveyed. This study used the Delphi technique and the analytic search process (AHP). This study started from eight concepts, 25 subconcepts, and a total of 84 items. It was finally refined into eight concepts, 18 subconcepts, and 71 item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concepts derived through AHP, ‘food (23.7%)’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sanitary safety (17.1%)’, ‘service (13.8%)’, ‘price (10.6%)’, ‘reputation/evaluation (9.1%)’, ‘location (9.0%)’, and ‘physical environment (8.4%)’. The top 10 ranked detailed items include personal hygiene of the staff(0.60%)’, visibility (0.50%)’, taste (0.43%)’, clean sanitary clothing (0.40%)’, easy access to major highways (0.40%)’, implementation of a price reconnaissance system (0.29%) , menu expertise (0.28%) , price compared to the same menu in the surrounding area (0.26%) . The restaurant preparedness index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useful tool to check the food tourism acceptance status in the region and suggest ways to develop. A future study can apply this restaurant preparedness index to actual data to compare by region, check whether the index properly reflects real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조사설계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콜라텍에 형성된 노인여가의 하위문화 연구
- 관광전공 대학생의 진로통제소재가 그릿과 진로변경의사에 미치는 영향
- 목표지향적 행동모델(MGB)을 적용한 지체장애인의 관광행동 고찰
- 중국 실버관광객의 라이프스타일이 관광상품의 소비감정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최저임금인상에 따른 외식업계의 팁핑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 와인소비자의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 방문수요에 관한 연구
- FSC소비자와 LCC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인스타그램 게시글과 댓글에 대한 키워드 감성분석과 네트워크 분석
- 항공서비스전공 실습수업에서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학습몰입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역음식관광 발전을 위한 음식점 수용태세지수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