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스타그램 게시글과 댓글에 대한 키워드 감성분석과 네트워크 분석

이용수  818

영문명
The Keyword Sentiment and Network Analysis for Instagram Posts and Comments: Korea, Japan and Switzerland
발행기관
대한관광경영학회
저자명
김은미(Kim, Eunmi) 박재은(Park, Jaeeun) 이주미(Rhee, Jumi)조민주(Cho, Minju) 정남호(Chung, Namho) 구철모(Koo, Chulmo)
간행물 정보
『관광연구』제36권 제4호, 123~13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7.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소셜미디어가 관광분야의 새로운 정보원으로 인식되면서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도 관광공사 공식계정을 통한 소셜미디어 채널이 운영되고 있다. 소셜미디어는 관광지에 대한 이미지 구축 및 홍보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인스타그램은 최근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소셜미디어 플랫폼 중 하나이다. 잠재관광객들은 정보탐색을 위해 인스타그램의 게시물을 통해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사용자 댓글은 잠재 관광객들의 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게시물 공유시 이미지와 함께 작성되는 게시글과 사용자의 의견 및 태도를 파악할 수 있는 댓글의 특성을 키워드 분석을 통해 국가별로 비교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관광공사, 일본관광청, 스위스관광청에서 운영하는 인스타그램 공식계정에 게시된 최근 2년간 게시물의 게시글과 댓글에 대한 텍스트 분석을 수행하였다. 게시글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결과 국가별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단어의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국가별로 상이한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게시글과 댓글에서 많이 사용되는 키워드를 추출한 결과, 게시글에 사용된 상위 10개의 키워드에서는 3개국 모두 인지적 단어보다 감정적 단어의 사용이 많았으며 댓글에서 감정적 단어의 사용이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감성분석 결과로는 긍정적인 단어의 사용이 높게 나타나며, 감정을 세분화했을 때는 긍정적인 감정의 단어에서는 joy 및 anticipation, 부정적인 감정의 단어에서는 sadness 및 fear에 관련 된 단어의 사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관광 분야의 소셜미디어 활용 현황을 국가별로 비교하여 국가별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소셜미디어의 국가별 운영방안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영문 초록

As social media is recognized as a new source of information in the tourism industry, tourism organizations’ official social media channels are actively use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orldwide. Social media can be used to build and promote images of tourist attractions, and among them, Instagram is one of the social media platforms that has been actively used recently. Potential tourists acquire information through Instagram posts and comments, which has an essential impact on their decision-making. In this study, we analyzed postings’ posts and comments on the official accounts operated by Korea Tourism Organization, Japan Tourism Organization, and Swiss Tourism Organization for the past two years to see whether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exist based on keywords. Network analysis showed that words that could identify country-specific characteristics were noted. Furthermore, by extracting frequently-used keywords show that all three countries use emotional words more than cognitive words. The use of emotional words in comments is prominent. The sentiment analysis showed that the positive words frequently appeared, mostly related to Joy and Anticipation, and in negative emotions, Sadness, and Fear. This study was compared the social media use in the tourism sector by country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and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country-by-country operation plan of social medi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프레임워크
Ⅳ. 분석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미(Kim, Eunmi),박재은(Park, Jaeeun),이주미(Rhee, Jumi)조민주(Cho, Minju),정남호(Chung, Namho),구철모(Koo, Chulmo). (2021).인스타그램 게시글과 댓글에 대한 키워드 감성분석과 네트워크 분석. 관광연구, 36 (4), 123-139

MLA

김은미(Kim, Eunmi),박재은(Park, Jaeeun),이주미(Rhee, Jumi)조민주(Cho, Minju),정남호(Chung, Namho),구철모(Koo, Chulmo). "인스타그램 게시글과 댓글에 대한 키워드 감성분석과 네트워크 분석." 관광연구, 36.4(2021): 123-1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