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광전공 대학생의 진로통제소재가 그릿과 진로변경의사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3
- 영문명
- The Impact of Career Locus of Control on GRIT and Career Intension to Change for Tourism Students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한수정(Han, Sujung) 박상희(Park, Sanghee)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36권 제4호, 141~16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7.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전공 대학생들의 진로통제소재가 그릿과 진로변경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진로변경의사에 관계된 심리적 기제로 진로통제소재와 그릿과의 영향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의 표본은 4‧2년제 관광전공 대학생 284명이며, 총 284부의 설문을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는 SPSS 24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진로통제소재의 4개 하위요인(운, 영향력 있는 타인, 무기력, 내적통제소재)중 내적통제소재의 요인만이 그릿의 2개 하위 요인(노력의 지속성, 흥미의 일관성)에 유의한 정(+)의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적 통제소재가 높을수록 장기적인 목적을 성취하려는 노력의 지속성과 흥미의 일관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진로통제소재 하위요인 중 운은 그릿의 하위요인 중 흥미의 일관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릿의 하위 요인 중 노력의 지속성은 진로변경의사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지만 흥미의 일관성은 진로변경의사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점은 흥미의 일관성과 노력의 지속성을 구분하여 각각의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진로통제소재, 그릿과 진로변경의사의 영향 관계를 밝힌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전공 대학생들의 내적인 진로통제소재와 그릿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개발하는 기초자료가 되어 관광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관광업계로의 진로결정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er Locus of Control on GRIT and Career Intension to Change for Tourism Students. For this purpose, onlin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ollect 284 final data. A total of 284 copies contributed to the final analysis data using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The validity of the hypothesis was tes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internal locus of control of career locus of control(luck, powerful others, helplessness,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GRIT(perseverance of effort, consistency of interest). This implys that the higher internal locus of control, the higher GRIT to achieve long-term goals. There were nega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luck’ of career locus of control and ‘consistency of interest of GRIT. Second, perseverance of effort of GRIT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intension to change. However, consistency of interest of GRI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upon career intension to change. This suggests that it is more reasonable to explore each effect by distinguishing consistency of interest from perseverance of eff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 is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o strengthen internality of career locus of control and GRIT for a positive psychological mechanism of tourism students to minimize career stress that leads to sound career decis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콜라텍에 형성된 노인여가의 하위문화 연구
- 관광전공 대학생의 진로통제소재가 그릿과 진로변경의사에 미치는 영향
- 목표지향적 행동모델(MGB)을 적용한 지체장애인의 관광행동 고찰
- 중국 실버관광객의 라이프스타일이 관광상품의 소비감정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최저임금인상에 따른 외식업계의 팁핑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 와인소비자의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 방문수요에 관한 연구
- FSC소비자와 LCC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인스타그램 게시글과 댓글에 대한 키워드 감성분석과 네트워크 분석
- 항공서비스전공 실습수업에서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학습몰입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역음식관광 발전을 위한 음식점 수용태세지수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