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15
- 영문명
- Effects of Smartphone Overuse on Academic Delay Behavior by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leep Disorder Characteristics
- 발행기관
- 한국구강보건과학회
- 저자명
- 장경애(Kyeung-Ae Jang) 이혜진(Hye-Ji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제9권 제2호, 54~60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sleep disorders on the impact of smartphone overuse on academic delay in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9 to November 27, 2020, targeting 164 dental hygiene students in Busan and Daejeon.
The analysis method used the SPSS 26.0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leep disorders, it was found that as the characteristics of sleep disorders increased, the influence of excessive use of smartphones on academic delay behavior increased (p<.001). Sleep disorder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partially mediate smartphone overuse and academic delay behavior, indicating that the sleep disorder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
Conclusions: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e and the sleeping habits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he impact of these factors on academic performa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일부 성인의 민영치과의료보험 가입 여부와 구강건강지식 및 구강건강정보이해력의 관계
- 일부 지역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조감과 인지기능장애평가의 관련성
- 보건소 국가암검진지원사업대상자의 수검관련요인
- 치위생과 학생들의 코로나 19(COVID-19)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
-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에 대한 분석
- 부산시 초등학생 대상 칫솔질 활동지를 통한 칫솔질방법 및 인식변화
-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의 긍정적사고와 공감능력 및 의사소통능력과의 관련성
- 기숙형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학생의 대인관계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노인 임플란트 보험 급여화 후 일부 치과위생사의 근무환경 및 구강보건교육의 변화
- 치위생과 학생들의 기침예절 이행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코로나 19(COVID-19) 온라인 학습참여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 임상 치과위생사의 공감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메리 세트라키안Mary Setrakian의 SING, FIND YOUR TRUE VOICE에서 제시하고 있는 ‘호흡법’에 관한 고찰 -연극치료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 『잘자요, 엄마』의 장르 특성에 따른 크로노토프 형성 과정 연구
- A.R. Gurney의 <러브레터> 연구 -자크 라깡의 정신분석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