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ipotassium Edetic Acid를 이용한 양안 띠모양각막병증 치료
이용수 0
- 영문명
- Bilateral Calcific Band Keratopathy Treated with Dipotassium Edetic Acid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유진(Yoo Jin Kim) 최신명(Shin-Myeong Choi) 김태기(Tae Gi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2,number5, 692~696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국내에는 보고된 바 없는 일반혈액검사 튜브에 있는 dipotassium edetic acid (EDTA)를 이용하여 치료한 양안의 띠모양각막병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77세 남자 환자가 1년 전부터 시작된 양안 시력저하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5년 전에 우안 백내장수술을 받았고 기저 질환으로 경과 관찰 중인 전립샘암이 있었다. 내원 시 우안 시력은 0.15, 좌안 시력은 0.1로 저하되어 있었다. 세극등현미경검사에서 각막중심부에 칼슘 침착이 관찰되었고, 띠모양각막병증으로 진단하고 국소마취 하에 각막상피를 벗겨낸 후 일반혈액검사 튜브에 코팅되어 있는 dipotassium EDTA를 증류수로 녹인 후 이를 이용하여 혼탁을 제거하였다. 수술 1주 후 양안 시력은 0.6으로 호전되었고, 7개월간 경과 관찰하면서 재발이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띠모양각막병증의 치료에서 dipotassium EDTA를 이용한 방법은 기존의 disodium EDTA를 이용한 방법과 달리 제조가 쉬워 손쉽게 얻을 수 있으며, 수술 시 합병증이 적은 방법으로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a case of bilateral calcific band keratopathy treated with dipotassium edetic acid (EDTA) in a blood collection tube, an approach that has not been used previously in the Republic of Korea. Case summary: A 77-year-old male patient, with a history of diabetes and hypertension, presented with decreased vision in both eyes that had begun 1 year prior. Five years prior, the patient had undergone cataract surgery in the right eye and had received a diagnosis of prostate cancer for which he was currently under observation without surgical treatment. At the initial eye examination, his best-corrected visual acuity was 0.15 in the right eye and 0.1 in the left eye. Calcium deposition was observed in the center of the cornea by slit-lamp examination, resulting in a diagnosis of band keratopathy. We proceeded to dissolve the dipotassium EDTA coated on a blood collection tube with distilled water. Using the dissolved dipotassium EDTA, we peeled off the corneal epithelium under local anesthesia to remove the calcium deposition. One week after surgery, the visual acuity of both eyes improved to 0.6, and no recurrence or complications occurred for 7 months. Conclusions: As a new treatment for band keratopathy, we discovered that dipotassium EDTA is more convenient to obtain than the conventional disodium EDTA. We expect that dipotassium EDTA will be widely used in the treatment of band keratopathy.
목차
증례보고
고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위눈꺼풀수술 후 0.15% 히알루론산 나트륨 점안액이 안구 표면에 미치는 임상적 효과
- 소아에서 Wavefront 수차계를 이용한 굴절검사의 유용성
- 정상 안저 소견을 보이는 제2형 당뇨 환자에서 대비감도 변화와 내측 망막두께 분석
- Dipotassium Edetic Acid를 이용한 양안 띠모양각막병증 치료
- 데스메막각막내피이식술 후 이식편 실패가 온 환자에서의 데스메막각막내피이식술
- 피브린 접착제를 이용한 공막 내 인공수정체고정술의 안축장 및 전방깊이에 따른 효과 분석
- 4세 이하의 선천성 코눈물관막힘 환아에서 외래에서 시행한 코눈물관탐침술 임상결과 분석
- 결막편평세포유두종 절제 병력이 있는 젊은 환자에서 발생한 누낭 편평세포암종
- 군날개에서 생체 접착제와 최소 결막 봉합을 사용한 양막이식술과 자가결막이식술의 임상결과
- 녹내장섬모체염발증으로 오인된 접촉성 폐쇄각녹내장에서 발생한 비동맥염 앞허혈시신경병증
- 유리체강내 덱사메타손 임플란트 삽입 후 발생한 수술이 필요했던 합병증
- 백내장수술 후 중심와아래 맥락막두께와 맥락막혈관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적 요인들
- 눈꺼풀의 발적성 부종을 주소로 내원한 소아 피부근육염 1예
- 갑상샘눈병증에서 갑상샘 자극 면역글로불린 수치의 변화에 따른 망막 및 맥락막혈관의 변화
- 눈떨림 환자에서 영상눈전위도를 이용한 눈떨림 파형 분석
- 한국인에서 리바운드안압계의 임상적 유용성
- 특발망막전막수술 후 망막의 변위와 변형시의 분석
- Eikenella corrodens에 의한 감염각막염 1예
- 거짓비늘증후군에서 동반된 각막대상부전 1예
- 내사시수술 후 발생한 안와봉와직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Minimally invasive immediate implantation in the anterior region affected by aggressive periodontitis: two case reports
- Implant fractures to failures – case report series
- Melittin inhibits MPP+-induced HT22 cell death by suppressing Bax activation and improving mitochondrial func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