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눈꺼풀의 발적성 부종을 주소로 내원한 소아 피부근육염 1예
이용수 16
- 영문명
- Juvenile Dermatomyositis Presenting with Erythematous Swelling of the Upper Eyelid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류희경(Hee Kyung Ryu) 정향숙(Hyang Sook Jeong) 정연웅(Yeon Woong Chung)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2,number5, 719~723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눈꺼풀부종으로 내원한 환아에서 소아 피부근육염으로 진단된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11세 여자 환아가 3주 전부터 시작된 양측 위눈꺼풀부종으로 내원하였다. 양안 통증, 충혈은 없었으며 양 뺨의 발진이 있었다. 눈꺼풀염 의심하 항염증 치료 중 위눈꺼풀테 주변으로 적자색의 헬리오트로프 발진 양상이 확인되었다. 발열, 관절통, 구강내 궤양 및 귀 뒤의 인설성 홍반과 손가락 관절과 팔꿈치에 인설성 홍반성 구진도 동반되었다. 혈청검사상 aspartate transaminase 184 IU/L, alanine transaminase 352 IU/L, alkaline phosphatase 266 IU/L로 상승하였다. 조직검사상 눈꺼풀 병변은 피부근육염, 손가락 관절병변은 고트론 구진으로 확인되었다. European League Against Rheumatism/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진단 기준에 따라 소아 피부근육염으로 진단되어 스테로이드 치료하던 중 합병증으로 발생한 간질성 폐렴이 급격히 진행하여 진단 3개월에 사망하였다. 결론: 눈꺼풀부종 환자에서 헬리오트로프 발진을 확인하여 소아 피부근육염의 조기 진단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a case of juvenile dermatomyositis that presented with erythematous swelling on the upper eyelid as the first clinical sign. Case summary: An 11-year-old female patient presented with erythematous swelling of both upper eye lids that persisted for 3 weeks prior to examination. She also had an erythematous rash over both cheeks but no pain or hyperemia in either eye. During anti-inflammatory eye drop treatment under suspicion of blepharitis, a reddish-purple heliotrope rash appeared around the eyelid margin. She also developed fever, arthralgia, multiple oral ulcers, an erythematous scaly rash behind the ear, and erythematous firm papules on the metacarpal (MCP) joint and around the elbow. On evaluation, aspartate aminotransferase was elevated to 184 IU/L, alanine aminotransferase to 352 IU/L, and alkaline phosphatase to 266 IU/L. We performed a skin biopsy. Based o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the eyelid lesion was diagnosed as dermatomyositis and the MCP joint lesion as Gottron’s papule. From the above findings, we diagnosed the patient with juvenile dermatomyositis based on the European League Against Rheumatism/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classification.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prednisolone. Three months after diagnosis, she died from rapidly progressive interstitial pneumonia, a complication of juvenile dermatomyositis. Conclusions: Heliotrope rash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patients presenting with eyelid swelling, for early diagnosis and better prognosis of juvenile dermatomyositis.
목차
증례보고
고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위눈꺼풀수술 후 0.15% 히알루론산 나트륨 점안액이 안구 표면에 미치는 임상적 효과
- 소아에서 Wavefront 수차계를 이용한 굴절검사의 유용성
- 정상 안저 소견을 보이는 제2형 당뇨 환자에서 대비감도 변화와 내측 망막두께 분석
- Dipotassium Edetic Acid를 이용한 양안 띠모양각막병증 치료
- 데스메막각막내피이식술 후 이식편 실패가 온 환자에서의 데스메막각막내피이식술
- 피브린 접착제를 이용한 공막 내 인공수정체고정술의 안축장 및 전방깊이에 따른 효과 분석
- 4세 이하의 선천성 코눈물관막힘 환아에서 외래에서 시행한 코눈물관탐침술 임상결과 분석
- 결막편평세포유두종 절제 병력이 있는 젊은 환자에서 발생한 누낭 편평세포암종
- 군날개에서 생체 접착제와 최소 결막 봉합을 사용한 양막이식술과 자가결막이식술의 임상결과
- 녹내장섬모체염발증으로 오인된 접촉성 폐쇄각녹내장에서 발생한 비동맥염 앞허혈시신경병증
- 유리체강내 덱사메타손 임플란트 삽입 후 발생한 수술이 필요했던 합병증
- 백내장수술 후 중심와아래 맥락막두께와 맥락막혈관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적 요인들
- 눈꺼풀의 발적성 부종을 주소로 내원한 소아 피부근육염 1예
- 갑상샘눈병증에서 갑상샘 자극 면역글로불린 수치의 변화에 따른 망막 및 맥락막혈관의 변화
- 눈떨림 환자에서 영상눈전위도를 이용한 눈떨림 파형 분석
- 한국인에서 리바운드안압계의 임상적 유용성
- 특발망막전막수술 후 망막의 변위와 변형시의 분석
- Eikenella corrodens에 의한 감염각막염 1예
- 거짓비늘증후군에서 동반된 각막대상부전 1예
- 내사시수술 후 발생한 안와봉와직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Minimally invasive immediate implantation in the anterior region affected by aggressive periodontitis: two case reports
- Implant fractures to failures – case report series
- Melittin inhibits MPP+-induced HT22 cell death by suppressing Bax activation and improving mitochondrial func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