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중음악 화성 편곡에 활용되는 인공지능 기술 연구
이용수 990
- 영문명
-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Used in Popular Music Harmony Arrangement
-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 저자명
- 강영근(Kang, Young Gun)
- 간행물 정보
- 『대중음악』통권 27호, 9~47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 대중음악 산업에서는 인간과 인공지능의 협업을 통해 음악 제작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결과물은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는 인공지능이 가지는 기계적 창의성을 통해 인간이 가진 예술적 창의성의 가치를 효율적으로 확장하는것이며, 나아가 인간과 인공지능의 협업 구조를 통해 새로운 창작물이 표현되는 과정인 것이다. 연구자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이 같은 현상을 견지하여 인간과인공지능의 협업 구조에서 실제적인 창의적 상호 협력 가능성을 심도 있게 고찰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대중음악을 편곡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대중음악 화성 편곡에 적합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음악의 화성학을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데이터로 재구성하여 편곡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둘째, 대중음악 화성 편곡의 특징을 알고리즘을 통해 코드로 구현하고체계화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마지막으로 급변하는 대중음악 산업의 양상을 견지하여 인간과 인공지능의 창의적 협업 체계를 여러 형태로 확장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에 그 의미를 둔다.
영문 초록
Currently in the popular music industry music is produced through cooperation between huma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se results are commercialized in the popular music industry. This effectively expands the value of human artistic creativity through the mechanical creativ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further expresses new creations through the structure of collaboration between huma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researcher carried out a study of arranging popular music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order to in-depth examine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creative mutual cooperation in the cooperative structure of huma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keeping with this phenomen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proceed with the research, a new algorithm suitable for popular music harmony arrangement was developed and applied, an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confirmed through this. First, it was possible to reconstruct the technology of music into data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and apply it to the arrangement. Second, it was possible to implement and systematize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music harmony arrangements as chord through the algorithm. Lastly, it is meaningful to confirm that the creative cooperation system between huma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expanded in various forms by maintaining the aspect of the rapidly changing popular music industry.
목차
1. 서론
2.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음악
3. 인공지능을 활용한 대중음악 화성 편곡
4. 인공지능 편곡의 성능 평가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