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창 동계올림픽 계기 남북 음악공연교류 분석
이용수 201
- 영문명
- 2018 Inter-Korean Music Exchange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 저자명
- 하승희(Ha, Seung Hee)
- 간행물 정보
- 『대중음악』통권 27호, 281~320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2018년 진행되었던 남북 음악공연교류를 분석하여 남북 음악교류의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평창올림픽과 남북정상회담 계기로 진행된남북 음악공연 교류에서는 먼저 레퍼토리 측면에서 과거와 같이 통일노래 및계몽기가요의 주요 레퍼토리를 반복적으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남북관계의 특수성과 한반도문제의 다양한 변수들로 인해 음악교류 또한 불안정하게 진행되었다. 음악공연교류는 정상회담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부차적으로 급박하게 마련되었으며, 정치적 행사에 앞선 일회성 공연으로 지속성을 가지기 힘든 문제가 과거에이어 반복되었다. 북한체제 특성과 국가보안법의 존속에 따라 새로운 레퍼토리의대안이 어려운 점도 존재했다. 그럼에도 다양한 대중가요를 통해 남북관계를 재해석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다는 점에 의미가 있었다. 향후 남북 음악공연교류에서는 공연교류의 궁극적인목적과 방향성을 설정하고 변화한 통일의 인식과 의미에 따라 교류의 새로운포맷과 메시지, 그에 따른 레퍼토리의 발굴이 필요하다. 음악공연교류가 정례적인 행사로 진행될 수 있는 방안마련과 함께 공연교류방식 외에 음악을 통한 다양한 교류방법을 모색하고, 일회적 성격의 공연에서도 대응이 가능하도록 구체적인가이드라인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남북문화예술 교류센터와 같은 종합 공간은 과거 교류들과의 지속성과 함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거점이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usic exchange of South-North and seek for new possibilities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significant flow of the music exchange of South-North as it has been progressed to the present time with the focus on the performance of the recent music exchange of South-North in 2018. Notwithstanding such fact, it is important to have the effort to re-iterate the South-North relationship by facilitating diverse popular music and selecting songs that may be construed under a broad spectrum for the implication of exchange. There is a need for new format and message as in the changed perception on unification and its implication, as well as the discovery of ensuring repertoires. And preparation of an exchange center as the comprehensive space for the exchange of culture and art by South-North to implement various studies and education, such as South-North Culture and Art Exchange Center for preparing such a process would be the starting point to seek for possible development along with the continuity with the endeavors in the past exchange.
목차
1. 서론
2. 남북 음악공연교류의 양상과 특징
3. 2018 삼지연관현악단 방남공연 「우리는 하나」
4. 2018 남북 평화협력 기원 남측 예술단 평양공연 「봄이 온다」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