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은유추출기법을 이용한 편의점내 식음공간 연출
이용수 123
- 영문명
- Dinning Space Display In Convenient Stores Using Zaltman Metaphor Elicitation Technique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노연아(Noh, Yeon-Ah) 한경수(Han, Kyung-Soo)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식공간연구 16권 1호, 17~3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의 목적은 편의점 공간 변화를 인지하여 편의점내 식음공간 구성요소를 도출, 소비자 가치관 변화에 따른 소비패턴을 파악한 차별화된 식음공간 연출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소비자 잠재된 내면심리를 파악할 수 있는 은유추출기법을 이용하였다. 연구도구로 소비자의 편의점 공간 인식을 파악하였고 문헌고찰과 심층면접을 통해 편의점내 식음공간 구성항목을 도출, 내용요소를 분석하였다. 면접대상은 통계자료에 의해 편의점 공간 주 이용고객 25세에서 35세 12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소비자들이 인식한 편의점 공간 최종개념은 이용이 자유로운 휴식처와 같은 공간으로 판명되었다. 도출된 편의점내 식음공간 영역별 구성은 도입부 영역, 중심부 영역, 서비스 영역이었다. 도입부 영역은 입구, 카운터, 물품진열대로 상품구입 후 식음공간 가기 전까지이다. 중심부 영역은 섭취공간으로 소비자의 니즈에 따라 1) 개성적인 식음공간 2) 오락적 식음공간 3) 상업적 식음공간으로 구별하였고 서비스 영역은 간편식 섭취를 위한 부가기능을 행할 수 있는 공간을 말한다. 편의점은 판매공간과 식음공간이 공존하지만 식음공간은 판매식품 필요성에 따라 형성된 영역이다. 따라서 단순 공간 분리가 아닌 소비자 식사를 위하여 마련한 식음공간임을 인식한 공간연출 계획이 필요하다. 결론에서 식음공간 연출을 제시하고 학문의 발전과 실무적 연구 방향,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fferentiated displays of dining space that reflects consumer’s changed consumption pattern based on new space composition in conveniece store(CVS). Zaltan Metaphor-Elicitation Technique that allows us to identify the inner psychology of consumers, was employed as methodology. How consumers perceive CVS was examined as its study instrument and the composition items of dining space derived from its literature reviews and in-depth interviews and then their content elements were analyzed. Interviewees were 12 CVS users aged from 25 to 35, who are major main consumers according to statistical data. Consumers’ ultimate CVS perception turned out to be a space for freedom and rest. The dining space consists of entrance, main, and service area. The entrance area includes entrance, counter, and display stand before consumers reach the dining space. The main area is a place where intake occurs and is classified into 1,differentiated dining space, 2,entertaining dining space, and 3,commercial dining space. The service area is a space for additional function. CVS has both selling and dining space, and the latter is created by food consumption. In other words, CVS needs space display plan for meals, not simple space separation. The dining space display is shown and academic development, direction for its further practical study, and its limitations are suggested in the conclus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