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전문학을 통한 음식문화 콘텐츠 연구(2)
이용수 190
- 영문명
- Searching for Food Culture through Korean Classics(2): Focused on the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김태웅(Kim, Tai-Woong)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식공간연구 16권 1호, 81~9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 고유의 음식문화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고전문학을 통한 음식문화 콘텐츠 연구는 필연적이다. 판소리는 시조, 가사 등 조선후기 대표적인 장르가 사대부 중심이었던 것과 달리 서민중심의 장르였다. 무대와 비슷한 것으로 추정되는 ‘판’과 소리를 대표하는 ‘창자’, ‘고수’만 있으면 쉽게 부를 수 있었다. 더욱이 시조와 가사가 창자에 의한 일방적인 장르였다면 판소리는 창자와 구경꾼 사이에 공연 중 소통이 가능한 장르였다. 또한 서사와 서정을 포함하고 있는 장르이기에 서사의 대표적 특징인 특수성과 서정의 대표적인 특징인 보편성을 아우르고 있다. 조선후기 이전에 고전시가는 일부 지식인들의 소산이었다. 그렇기에 조선후기 소설 장르는 서민들에게 어떤 장르보다 인기를 끌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특수성과 보편성을 다 가지고 있는 판소리는 서민들뿐만 아니라 지식인들에게도 인기를 끌게 되었다. 판소리에서 음식문화와 관련하여 콘텐츠 개발을 목적으로 진행된 연구는 아직 없기에 이 연구는 판소리에서 음식문화와 관련된 소스를 찾아 음식문화 콘텐츠 개발을 진행하는 밑거름이 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문학에는 역사에는 기록되지 않는 것이 있다. 이것이 문학의 가치이며 이를 콘텐츠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는 음식문화 콘텐츠 개발을 위한 두 번째 연구로 <수궁가>에 등장하는 음식문화를 찾아내 음식문화 콘텐츠로 활용하기 위한 1차 작업 및 콘텐츠 활용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creating genuine Korean food and cultural content, research on food and cultural content through traditional literature is inevitab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pansori was a commoner-centered genre unlike other main genres, such as sijo or gasa, that represented the aristocracy. It could be performed easily when “pan”, a stage; “changja”, a singer; and “gosu”, a drummer are ready. Moreover, while sijo and gasa were unilaterally delivered by changja, pansori was a genre where the singer could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on stage. It also includes both narrative and lyric, thereby being specific as the former and universal as the latter. Later it was embraced by the elite as well.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pansori yet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content related to food culture. Therefore, the research aims to find sources related to food culture in pansori and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development of food and cultural content. Sometimes, literature has what is not documented in history. A basic research is in progress to identify that value of literature and help create content for food and culture. This study is the second work to develop food and cultural content. The study addresses primary efforts to find and develop food culture in “Sugungga”, one of the five surviving stories of pansori, for creating food and culture cont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