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fault Judgment in Federal Civil Procedure
- 발행기관
- 한국민사소송법학회
- 저자명
- 오대성(Daesung Oh)
- 간행물 정보
- 『민사소송』제17권 제2호, 383~41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1.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efault judgment is a binding judgment in favor of either party based on some failure to take action by the other party. Most often, it is a judgment in favor of a plaintiff when the defendant has not file an answer to a complaints or has failed to appear before a court of law. The failure to take action is the default. Federal Rule of Civil Procedure provides that the court may enter default judgment against defendant if he fails to file an answer to complaints. Usually, this does not even involve a hearing. In such cases, obtaining Judgment is a purely administrative act, which is one refers to it as ‘entering’ Judgment. Final judgment will be entered in claims for specified sums, whereas Judgment for damages to be decided will be entered in claims for unspecified amounts. Because in most cases entering default judgment is an administrative process, there is no investigation of the merits of the claim. The court, therefore retains wide powers to set aside on a motion by the defendant This article looks over Judgment in default mainly focusing on the federal rule of civil procedure. If needed, reference from state system will be alluded. In the following paragraphs topics on default Judgment will be tackled on. Topics are on the meaning, the history, the grounds, the process, the method, and relief of a default Judgment. Furthermore, the problems behind them will be pointed out and ways to improve these problems will be suggested. This discussion is meaningful for it presents implications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non-pleading Judgment system of Korea.
목차
Ⅰ. 서론
Ⅱ. 궐석판결의 본질
Ⅲ. 궐석판결에 대한 구제(취소)
Ⅳ. 궐석판결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Ⅴ. 우리나라의 궐석판결(무변론판결)
Ⅵ. 결론: <부록>연방민사소송규칙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景山 胡文赫 敎授 年譜·論著 目錄
- IAPL 2013년 그리스 아테네 대회 참가보고
- 가사절차에서의 진실발견
- 刊行辭
- 민사소송법상의 ADR 분류체계의 재검토
- 독일민사소송법에 있어서의 직접주의
- 재심청구와 통상의 민사상 청구의 병합
- 한국의 외국판결승인제도
- 관련재판적과 관할선택권의 남용
- 한국과 몰도바 공화국 민사소송의 기본절차에 대한 비교 및 분석
- 집단분쟁해결을 위한 새로운 민사소송제도의 도입에 관한 소고
- 관련재판적과 전속적 관할합의의 충돌
- 피고경정제도에 관한 고찰
- 회사법상 소송의 당사자적격에 관한 고찰
- 전자공증제도의 현황과 과제
- 대위소송으로 인한 소송경합과 원고적격
- 소비자단체소송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임시의 지위를 정하는 가처분과 관련하여 잠정명령 제도의 도입에 관한 연구
- 미국 연방민사소송에서의 궐석판결
- 한국 민사상고제도의 개선방안
- 개인정보의 유출에 의한 집단적 피해의 구제349
- 賀詞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