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ualitative Meta-Analysis on Re-employment Experience of Reentry Women
- 발행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저자명
- 김정원(Jungwon Kim)
- 간행물 정보
- 『여성연구』통권 제108호, 131~16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여성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경험에 대한 선행연구를 질적 메타분석하여 재취업 과정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20년 3월까지 출판된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경력단절여성, 기혼여성, 재취업, 노동시장 재진입, 경제활동참여를 키워드로 설정하여 국회도서관과 한국학술정보 사이트를 통해 검색하였으며, 포함 및 배제 기준에 따라 총 12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질적 메타분석은 Noblit & Hare(1988)가 제시한 메타문화기술지 7단계에 맞춰 수행했으며, Schlossberg(1984)의 4S 모델에 따라 개인, 상황, 지원과 전략으로 차원을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 가정, 사회적 삶 속에서 한계상황에 처한 경력단절여성, 최고의 전략으로 맞서다”라는 종합적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개인에서는 “가정, 사회 속 내 위치 탐색하기”라는 차원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상황에서는 4개의 기술적 주제를 바탕으로 “내적, 외적 유리천장 극복하기”라는 차원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지원에서는 “최소한의 지지 얻기”라는 차원적 주제가, 마지막 전략에서는 “강력한 전략 활용하기”의 차원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지원 정책과제도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노동시장 내 여성에 대한 다중차별 근절과 취업지원기관의 프로그램 질적 향상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the re-employment of reentry South Korean women. For this study, all South Korean journal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through April 2020 were collected using the key words “career interrupted women,” “female returners,” “married women,” “reemployment,” “reentry into the labor market,” and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from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search sites. After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applied, 12 qualitative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seven steps of the metaethnography methods proposed by Noblit and Hare (1988), resulting in one comprehensive subject, four dimensional subjects, and nine technical subjects (based on Schlossberg(1984)’s 4S theory). As for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metaanalysis, 9 technical topics, 4 categorical topics, and 1 comprehensive topic were derived. Under the comprehensive theme of “reentry women who are in critical situations in their personal, family, and social life, face the best strategy,” each theme included four categories: the self, “exploring their position in the home and society”; the situation, “overcoming internal and external glass ceilings”; the support, “getting the least amount of support”; and the strategy, “using powerful strategie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systems as well a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I.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시기 여성의 경력단절 영향요인
- 아동 행복감과 모 행복감, 모 일자리 만족도 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 유연근무가 기혼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여성관리자의 경력열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구조적 요인을 중심으로
-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한 여성 근로자의 일-가정 전이 잠재계층 및 영향요인 분석
- 고위직 여성공무원의 ‘유리절벽’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출산과 양육을 경험한 여군의 일・가정 양립에 대한 질적 연구
- 한국 청년의 결혼 및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성별 차이 분석
- 부산지역 가족가치관의 변화 및 영향 요인
- 기혼여성근로자의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동향
- 베이비부머 여성의 경력유형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