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청년의 결혼 및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성별 차이 분석

이용수  649

영문명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Marriage and Childbirth of Korean Young Adults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정병삼(Jung Byongsam)
간행물 정보
『여성연구』통권 제108호, 193~22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현 시대 대한민국 청년들의 대학교육과 고용안정, 주거안정 등이 결혼 및 출산에 주는 영향을 검증하고, 유의미한 구조관계의 세부적인 성별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청년 사회・경제 실태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학졸업, 대학 내 취업지원, 고용안정, 주거안정(주거소유 기대), 결혼의사 및 실제 결혼여부, 자녀 출산의사 및 실제 자녀유무 등에 관련된 15개 변수를 추출하여 세부적인 성별 차이를 분석했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육과 대학취업지원이 고용안정에 영향을 주고, 고용안정은 주거소유기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그 영향력에서 유의미한 성별차이가 있었다. 둘째, 대학교육과 고용안정은 주거소유기대를 매개로 결혼의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영향력에서 유의미한 성별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학교육, 고용안정, 주거소유기대가 결혼을 매개로 출산의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출산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결혼과 대학교육이었는데, 남자집단은 대학교육을 받은 집단이 출산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나, 여성집단은 반대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gender difference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effects of college education, job security, and housing stability on marriage and child birth of young Koreans. For the purpose, the 2019 Koran Young Adults Social and Economic survey data were analyzed and detailed gender differences were analyzed by extracting 15 variables related to college graduates, job support in universities, employment stability, housing stability (housing ownership expectations), marriage intentions and actual marriage status, childbearing intentions, and actual child status,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llege education and college support for employment significantly affect employment stability. Second, college education and job securit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marriage intentions through the mediation of residential ownership expectations, and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ir influence. Third, college education, job security, and housing ownership expectation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ention of childbirth through marriage, and marriage partially mediated the impact of foreign life potential variables on the intention of childbirth, and there was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influence.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병삼(Jung Byongsam). (2021).한국 청년의 결혼 및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성별 차이 분석. 여성연구, , 193-223

MLA

정병삼(Jung Byongsam). "한국 청년의 결혼 및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성별 차이 분석." 여성연구, .(2021): 193-2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