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에듀테크 산업 분석 및 시사점

이용수  1,065

영문명
An Analysis and Implication of Edu-Tech Industry in China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백수은(BAEK, Sueun) 한나(HAN, Na)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31권 제1호, 31~5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급성장 중인 중국 에듀테크 산업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에듀테크 산업육성 방안과 교육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연구방법] 거시환경분석을 위해 PEST기법을 적용하여 중국 에듀테크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정책적, 경제적, 사회적, 기술적 측면을 분석하였고, AI 관련 기술개발과 교육 프로젝트 및 사업, 사회공헌 활동 측면에서 우수한 기업으로 꼽히는 好未來(TAL),松鼠AI(Squirrel AI),商汤教育(Sensetime Edu)를 선정하여 구체적 기업 사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중국은 국가 차원에서 교육 시스템 현대화를 위한 정책적재정적 지원을 확대하며 에듀테크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고 있으며, 시장 및 투자규모 면에서 세계 1위를 차지하며 많은 수의 에듀테크 기업이 생겨나고 있다. 치열한 입시경쟁에 따른 교육열과 코로나에 따른 온라인 교육 확대는 에듀테크 산업 발전의 또다른 촉매제로 작용하였으며, 공교육과의 협업 및 적극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에듀테크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하였다. 또한 대규모 데이터 수집의 용이성 및 적극적인 인재유치, 글로벌 지향의 국제협력연구 진행을 통해 기술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에듀테크 관련 개인정보보호 법률은 최근 뒤늦게 제정되었고, 교육적 부작용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윤리적 가이드라인의 마련되지 않았으며, 고급 연구인력의 부족과 미국의 기술적 견제 및 후속 경쟁기업의 등장은 산업 발전에 위협요인으로 작용한다. [결론] 우리나라 에듀테크 산업육성 방향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에듀테크의 방향성에 대한 사회적인 합의를 기반으로 교육적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명확하고 국가적 비전 제시를 통해 긍정적인 인식을 확산시켜야 한다. 둘째, 공교육 도입 및 활용에 있어 적극적인 민관 협력을 통해 에듀테크 산업 생태계의 역동성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에듀테크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을 장려하여 교육격차 해소에 기여할 수 있게 해야한다.

영문 초록

[Purpose]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ina’s Edu-tech industry and present implications for Korea. [Method]For macro-level analysis, PEST technique was applied divided into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technical aspects. Also, leading Edu-Tech companies like ’TAL, Squirrel AI, and Sensetime Edu’ were selected for micro-level analysis. [Results]A number of Edu-Tech companies in China are emerging with reasons followed: expanding policy and financial support from government, the education fever from entrance exams and the expansion of online education following Covid-19, positive perception regarding Edu-Tech via cooperations with public education and social contribution, and a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through the ease of large-scale data collection. However,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are still some challenges such as ethical guidelines regardi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the lack of advanced research personnel, and follow-up competitors as well as the U.S. as a threat to industrial development. [Conclusion] Based on results implications for Korea are as follows: First, social consensus on the direction of Edu-Tech should be made in advance with the presentation of a clear national vis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secure dynamics of Edu-Tech ecosystem through active public-private sector cooperation in public education system. Thir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Edu-tech companies should be consistently encouraged for resolving the educational gap.

목차

Ⅰ. 서 론
Ⅱ. 중국 에듀테크 산업 거시환경 분석
Ⅲ. 중국 에듀테크 대표 기업 사례 - 인공지능(AI)기술 기업을 중심으로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수은(BAEK, Sueun),한나(HAN, Na). (2021).중국 에듀테크 산업 분석 및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31 (1), 31-53

MLA

백수은(BAEK, Sueun),한나(HAN, Na). "중국 에듀테크 산업 분석 및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31.1(2021): 3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