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창의력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메타분석
이용수 578
- 영문명
- A Meta-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Creative Self-Efficacy and Creativity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정미선(Mi-Seon JEONG)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8권1호, 245~26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여러 가지 측면으로 측정된 창의력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알아보고 관련한 조절 변인들을 확인하는 것이다. 2006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창의력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를 제시한 81편의 연구들에서 152개의 상관관계 효과 크기를 산출하고 조절 변인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메타 상관효과를 산출하기 위해서 Fisher’s Z가 사용되었고, 조절 변인을 확인하기 위해서 메타 ANOVA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보면, 창의력의 4가지 측면 모두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일관성 있게 높은 상관관계 효과 크기를 나타내었다. 조절 변인의 효과를 살펴 보면, 학교급에 따른 상관관계 효과 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서 창의력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효과 크기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학교급과 자기효능감 수준과 관계없이 창의력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높은 상관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에 따른 창의력과 창의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meta-analysis investigated the relations between creative self-efficacy(CSE) and creativity measures and hypothesized that self-assessed questionnaires would have a different relation to self-efficacy beliefs compared to other creativity tests. Relevant domestic studies that were conducted between 2006 and 2020 were analyzed. The meta-analysis synthesized 152 effect sizes from 81 papers. The materials of this stud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correlation studies the effect size of meta-correlation was calculated using Fisher s Z and moderation was tested with meta-ANOVA.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that are not significant correlation size depending on the four aspects of creativity. The moderator effect did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rade level of the learner. The moderator effect did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the level of self-efficacy. In conclusion, the relations between creativity and creative self-efficacy are highly correlated, creativity measures was not dependent on the four aspects of creativity. The correlation between creativity and self-efficiency does not change depending on the grade level of the learner and self-efficiency. Conceptu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critique concerning the creativity concept is brought up.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성 상담자의 알아차림과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
- 지역사회 여성정신장애인을 위한 Art Brut회복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중학생이 지각한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 공격성의 관계
-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낙태 외상에 대한 심리상담의 필요성
- 마누에서의 위계질서, 오염, 그리고 불안의 문제
- 대학에서 보건·의료·복지분야 다직종연계교육(IPE)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 노인복지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아동기자녀를 둔 부모의 전문적 도움추구 회피 및 중단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소명감의 매개효과
-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주간보호센터 이용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부모강요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중년기 여성들이 저널치료를 통해 인생2막에서 마주하는 것들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기반 외상 후 성장프로그램 개발
- 창의력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메타분석
- 군무원의 의사소통능력과 조직몰입의 관계
- 보육교사의 그릿, 정서지능, 교사효능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성별 및 자기 신체상에 따른 섭식행동의 차이
- 아동 성적 길들이기 양상의 이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인지장애 노인의 유튜브 기반 예술치료 참여에 따른 개인별 심리 및 생리 반응 분석
- 병원 조직문화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경험 탐색 : 예술기반연구
- 구조적 인생회고 기법과 결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노인의 노화불안과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